백가의 ()

문헌
1811년 이삼환이 경사류와 시문에서 아동에게 교훈이 될 만한 내용을 발췌하여하여 편찬한 교재. 아동용한자학습서 · 구결학습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11년 이삼환이 경사류와 시문에서 아동에게 교훈이 될 만한 내용을 발췌하여하여 편찬한 교재. 아동용한자학습서 · 구결학습서.
개설

저자는 성호 이익의 큰형이었던 이해(李韰, 1647~1673)의 손자로, 자는 자목(子木), 당호는 소미산방(少眉山房) 또는 목치도인(木癡道人)이라고 칭하였다. 경학(經學)과 경세(經世)에 관심을 기울였으며,천주교의 교리를 비판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양학변(洋學辨)’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서명은 노래자(老萊子: 춘추시대 초나라의 효자로 불린 학자)가 여러 집에서 천 조각을 모아 옷을 지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우리의 전통적인 풍습에서 아이가 첫돌을 맞이하면 장수를 기원하는 뜻으로 백가(百家)의 글을 모아 장수를 비는 풍습에서 따 온 제목이다.

본서는 ‘백가의(百家衣)’와 ‘구두지남(句讀指南)’ 및 기타 경사류와 시문에서 아동에게 교훈이 될 만한 내용을 발췌하여 구성한 아동용 학습서이다.

편찬/발간 경위

서문(序文)에 따르면, “매부 홍희탁(洪希倬)이 나이 들어 아들을 낳고 첫돌이 되자, 교훈이 될 말한 글을 적어달라는 부탁에 따라 쓴 것이다.(我妹壻洪希倬 晩歲生一子 … 希倬一日遺我一卷沒字冊子 請書小兒可知可行之語 …)”라고 하였다.

서지적 사항

1권 1책. 필사본. 백가의서(百家衣序)를 포함하여 총 20장(張), 40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반곽(半郭)의 크기는 세로 17.6㎝에 가로 13.1㎝이고,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의 책 크기는 세로 23.7㎝에 가로 15.5㎝이다. 계선(界線)이 뚜렷하고, 본문은 10행(行) 20자(字), 주석은 쌍행(雙行)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집필 동기를 밝힌 ‘백가의서(百家衣序)’, 아동이 알아야 할 기초 지식을 정리한 ‘백가의(百家衣)’, 구결 해독 방법을 정리한 ‘구두지남(句讀指南)’, ‘역번사(易繁辭)’를 비롯한 경사(經史)와 시문(詩文) 등에서 발췌한 교훈 등으로 구성되었다.

‘백가의서’에서는 매부 홍희탁의 부탁을 받고, 아동이 알아야 할 것들이 어떤 것들인지 옛날 사람들의 경전과 역사서를 바탕으로 발췌하게 된 동기를 밝히고 있다. 본문은 아동이 알아야 할 방위·숫자·색채·오례·길흉·천간·지지·오악·오장·육부 등의 기초 어휘나 교훈이 될 만한 문장을 나열하였고, ‘구두지남(句讀指南)’에서는 이 시기의 구결 사용 방식을 정리하였다.

‘구두지남’은 1장에 불과하지만, 구결 사용법을 정리한 ‘구두지남’, 행위의 주객(主客)과 문장의 시제·구조 등을 명확히 표시하는 14개 항의 현토 방식을 설명한 ‘구두거요(句讀擧要)’, 조사(助辭)의 용법을 설명한 ‘조사훈석(助辭訓釋)’으로 나누어, 이 시기의 구결 사용 방식을 명료하게 한 것으로 평가된다.

필사 후반에 포함된 『주역』의 ‘번사(繁辭)’와 유교 경전(經典), 사서(史書), 시문(詩文) 등에서 발췌한 명문(名文)들은 아동에게 교훈이 될 만한 내용을 발췌한 것으로 한문 교재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아동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기초 어휘와 지식 및 구결 사용 방법 등 아동용 한문 교재로서의 가치를 갖는다.

참고문헌

『백가의』(이삼환 저·이미란 옮김, 국립중앙도서관, 2013)
「한문 독법의 한국적 특수성」(최식, 『한자한문교육』27,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이삼환의 ‘양학변’ 저술과 호서 지방 성호학통」(강세구, 『역사와 실학』19·20호, 역사실학회, 2001)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