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은 전반적으로 얕은 부조로 조각되어 있다. 얼굴은 마모가 심하여 세부적인 표현이 보이지 않지만, 반달 모양으로 높이 솟은 육계와 함께 전체적으로 계란형의 동그란 윤곽선이 또렷하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남아 있다. 통견의 가사는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어깨로 ‘U’자형으로 넘어가는 옷 주름이 보이며, 그 틈으로 가슴이 약간 노출되어 있다. 이 옷 주름 아래로는 ‘U’자형 주름이 반복적으로 발끝까지 흘러내리고 있다. 비록 몸을 덮고 있지만, 가슴 부분과 다리 부분은 옷 주름의 간격이 비교적 좁고 복부 부분은 넓게 표현되어 있어 인체의 양감을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오른손은 오른쪽 가슴 앞으로 들어 시무외인을 결한 것으로 보이고, 왼손은 허리 정도 높이로 내려서 여원인을 결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손의 모습은 마모가 심해 정확히 파악되지는 않는다. 여원인을 결한 왼팔은 팔굽 부분을 굽혀서 늘어뜨리고 있는데 이로 인해 허리는 더욱 잘록하게 들어간 것처럼 보이며, 왼팔은 자연스럽게 앞으로 내민 것처럼 보여서 비록 얕은 부조이지만 간접적으로 양감을 드러내는 기법이 회화적이면서도 능숙하다. 시무외인을 결한 오른팔을 덮고 있는 옷자락도 허리의 굴곡에 따라 곡선을 이루고 있는데, 이 역시 인체를 직접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표면에 흐르는 옷 주름으로 양감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두 발은 잘 보이지 않는데, 가사 자락이 발을 완전히 덮은 것인지, 아니면 표현되었으나 하체의 양 끝 석재가 떨어져 나가 안 보이는 것인지 분명치 않다. 다만 대좌와 가사 끝단 사이에 보이는 부분이 있는데, 두 발을 옆에서 본 모습으로 표현한 흔적이 아닌가 한다. 대좌는 연꽃이 위로 향한 앙련좌(仰蓮座)로 이중으로 겹쳐진 연잎의 유려한 곡선이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