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313호. 화면 중앙의 높은 수미대좌 위에 아미타불이 결가부좌하였고, 왼쪽(향우)에는 관음보살, 오른쪽(향좌)에는 지장보살이 정면을 향해 서있으며, 그 위로는 좌우에 각각 3명씩 총 6구의 나한이 구름 속에 상반신만을 드러낸 채 서 있다. 화면 상단부 좌우에는 작은 규모의 화불이 2구씩 배치되었다.
회화문화재 | 작품
전라남도 강진군 소재 무위사 극락보전의 후불벽 앞면에 그려져 있는 조선 초기(1476년)의 아미타삼존벽화.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불화 (김정희, 돌베개, 2009)
「불교벽화의 전개와 우리나라의 사찰벽화」(박도화,『한국의 사찰벽화- 인천광역시·경기도·강화도』,문화재청·성보문화재연구원,200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아미타삼존벽화」(최선일,『경주문화연구』5,경주대학교 문화재연구소,2002)
「강진 무위사 극락전과 후불벽화의 조성배경」(배종민,『고문화』58,한국대학박물관협회,2001)
「한국 불교벽화의 연구」(박도화,『불교미술』6,동국대학교박물관,1981)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후불벽화 시론」(문명대,『불교미술』3,동국대학교박물관,1977)
「무위사극락전 아미타후불벽화시고」(문명대,『고고미술』129ㆍ130,한국미술사학회,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