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친부의 직은 처음 고려제도를 따라 대군(大君)·원군(院君)·군·원윤(元尹)·정윤(正尹) 등의 관호를 사용하다가, 조선 초기인 1443년(세종 25) 12월 종친의 독립된 산계를 정하면서 경(卿)·윤·정·영·감·장(長) 등의 관직을 두었는데 이 때 감은 정5품직이었다. 그 뒤 1457년(세조 3) 7월 종실의 직질(職秩)주 01)이 개정될 때 감은 다시 정6품직으로 격하되어 『경국대전』에 실리게 되었다.
조선시대사제도
조선시대 종친의 정6품 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