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등사 청동지장보살좌상은 두건(頭巾)을 쓴 지장보살로서 꽃문양의 귀걸이만 하였을 뿐, 몸에는 어떤 장엄도 하지 않고 법의만 착용한 모습이다. 지장보살상은 통견(通肩)식으로 법의를 착용하고 가부좌를 하였다. 장방형에 가까운 머리와 약간 긴 상체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길어 보인다. 보살상은 머리와 상체를 앞으로 약간 숙이고 있어 사색하는 모습이다.
청동지장보살좌상은 두건을 쓴 다음 머리 뒤에서 끈으로 묶었는데, 끈의 양 끝자락이 펼쳐져 어깨 뒤로 흘러내리고 있다. 이마 위의 두건은 접혀진 곳이라곤 전혀 없이 둥근 형태를 하고 있다. 두건의 양쪽 자락은 어깨를 덮고 옆으로 흘러내린다.
상호(相好)는 이마의 가로 폭이 넓고 턱이 짧은 방형으로서 완만한 원을 그리는 눈썹과 그 사이에 동그랗게 표현된 백호(白毫), 적당히 뜬 눈, 삼각형의 코, 넓은 인중, 꾹 다문 입, 큰 귀를 갖추고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라고 생각되는 두 줄의 선이 새겨져 있다.
수인(手印)은 오른쪽 손바닥을 위로 한 채 오른쪽 무릎 위에 두었는데, 손에 지장보살의 지물(持物)인 보주(寶珠)를 잡고 있다. 왼손은 손등을 위로 한 채 왼쪽 무릎 위에 올려놓았다. 손은 통통한 편이나 손가락이 길고, 손톱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보살상은 대의(大衣)와 승각기(僧脚崎) 등의 법의를 입고 있으며, 법의는 신체의 굴곡을 따라 유기적으로 표현되었다. 승각기 띠 위의 주름은 전혀 표현되지 않고 수평으로 밋밋하게 처리되었으며 띠 아래에는 살짝 나온 복부가 표현되었다. 법의 표현 방식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양쪽 어깨를 덮고 내려오는 두건과 오른쪽 어깨에서 팔뚝을 타고 흘러내리는 법의 자락, 오른쪽 발 끝을 살짝 덮은 다음 왼쪽 무릎 위로 드리워진 법의 자락이 지그재그식으로 큼직하게 처리되어 있다는 점이다.
대좌는 복판(複瓣) 연화문으로 이루어진 앙련(仰蓮)의 상대와 복련(伏蓮)의 하대가 맞붙어 있는 모습으로, 앙련은 짧고 복련은 길다. 대좌는 다소 균형이 맞지 않고, 조각의 수준도 지장보살에 비해 많이 떨어진다.
현등사 청동지장보살좌상은 전체적인 비례와 얼굴 표정, 두건 형식, 지그재그식 법의 표현 등을 통하여 18세기 말 불상의 특징을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