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식생활
물품
벌이 꽃의 꿀샘에서 채집하여 먹이로 저장해둔 것.
목차
정의
벌이 꽃의 꿀샘에서 채집하여 먹이로 저장해둔 것.
내용

처음 꽃에서 수집한 것은 주로 설탕 성분이지만 벌의 소화효소로 성분이 바뀐 것이다.

꿀은 아무런 가공이 필요 없이 손쉽게 얻고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인류가 이미 오래 전부터 이용해 왔는데, 이집트의 피라미드에서는 약 3천년 전의 꿀단지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신라시대에 꿀이 사용된 기록이 ≪삼국사기≫에 보이고 있으며,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백제왕자가 일본에 양봉법을 전하였다는 기록이 보이고 있다.

꿀은 벌의 종류에 따라 토종꿀과 양봉꿀로 나누어지는데, 유통되고 있는 것은 대부분 양봉꿀이다. 한 마리의 여왕벌을 중심으로 하는 한 무리에서 채밀되는 꿀은 10∼13㎏ 가량으로 꽃에 따라 아카시아꿀·싸리꿀·유채꿀·밤꿀·메밀꿀 등으로 불리며, 꽃의 종류에 따라 빛깔과 맛이 달라진다.

밤꿀은 쓴맛이 돌고 빛깔이 검으며, 아카시아꿀은 희고 고유의 향미가 있다. 꿀은 약 80% 가량이 탄수화물로 과당이 36∼38%, 포도당이 34∼36%, 설탕과 덱스트린이 2∼3%이다.

그 밖에는 단백질 0.2∼0.3%, 회분 0.05∼0.2%, 비타민 B 복합체인 B1·B2·B6·판토텐산 등과 개미산·젖산·사과산·색소·고무질·왁스·효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꿀은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유밀과·약식·다식 등의 감미료로 사용되기도 하고, 꿀을 타서 그대로 마시는 꿀물로도 이용된다.

참고문헌

『고려이전의 한국식생활사연구』(이성우, 향문사, 1978)
『식품카르테』(유태종, 박영사, 1982)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