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합덕제 ( )

목차
관련 정보
당진 합덕제
당진 합덕제
산업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성동리에 있는 합덕평야에 관개용수를 조달하던 저수지. 시도기념물.
목차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성동리에 있는 합덕평야에 관개용수를 조달하던 저수지. 시도기념물.
내용

1989년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소들강문(牛坪江門, 예당평야)의 관개를 위한 저수지이다. 합덕방죽 또는 합덕연지, 연호·연지·하호·연제 등으로 불린다.

합덕방죽에 연꽃이 만발하였을 때의 아름다움에서 유래한 것이다. 평지에 축조된 거대한 제방은 높이가 7∼8m가 넘으며 원래는 토축으로 만들어졌던 것 같으나 석축으로 보수된 부분이 적지 않다.

김제의 벽골제는 제방이 일직선으로 축조되었는데 합덕제의 제방은 곡선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길이가 1,771m이고 저수 면적이 102ha나 된다.

수리시설의 혜택을 받는 면적, 즉 몽리면적이 720ha의 관개용 저수지 터이나 지금은 논으로 되어 있다. 합덕읍 합덕리 즉 성동리로 들어가는 마을 입구에 8기의 합덕방죽과 관련된 비석이 서 있다.

2기는 비석 상단에 지붕을 석재로 만들어 올렸고 나머지 6기는 비석의 상단을 반원형의 모양으로 만들었다. 그 중 최고의 것은 1767년(영조 43)에 세운 연제중수비(높이 136.5㎝, 너비 49.7㎝, 두께 22㎝)이다.

1800년(정조 24)에 건립한 연제중수비(높이 88.5㎝, 넓이 43.5㎝, 두께 34.2㎝)와 1824년(순조 24)에 중수한(높이 113.5㎝, 너비 52.2㎝, 두께 15㎝) 것 등이 있다.

축조 시기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후백제 견훤(甄萱)이 왕건(王建)과의 전투를 위해 군마용으로 우물을 파 놓았다는 설과 다른 하나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면천(沔川) 산천조에 나오는 벽골지가 합덕지라는 것으로 삼한 또는 삼국시대에 축조되었을 것이라는 설이다.

아무튼 이 제방은 고려시대 이전으로 그 축조 시기가 올라가는 것은 확실하며 벽골제의 예로 보아 백제시대까지 소급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2017년 10월 멕시코에서 열린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 제68차 집행위원회에서 ‘세계 관개시설물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참고문헌

『당진의 재발견』(당진문화원, 1996)
『문화재대관』(충청남도, 199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근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