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변 세죽리 유적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안북도 영변군 오리면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겹아가리토기 · 가락바퀴 등이 출토된 집터.
목차
정의
북한 평안북도 영변군 오리면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겹아가리토기 · 가락바퀴 등이 출토된 집터.
개설

영변읍에서 동남쪽으로 약 10㎞ 떨어진 청천강 중류의 하안충적층 위에 있다. 1961년 홍수로 인해 유물층이 노출되었다. 1962년과 1963년에 2차에 걸쳐 북한의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적의 층위는 상부로부터 표토층(사질층, 30㎝) · 흑색부식토층(초기철기시대문화층, 30㎝) · 사질양토층(청동기시대문화층, 40㎝) · 흑색사질토층(간층, 30㎝) · 황색사질토층 (간층, 30㎝) · 백색사질토층(간층, 10㎝) · 사질양토층(신석기시대문화층, 30㎝) · 백색사질생토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 시기의 문화층에서 모두 27기의 움집터를 조사하였다.

내용

이 움집터들은 시기 및 유형에 따라 다섯 유형으로 분류한다.

① I유형 : 동서 장축의 장방형 움집터 1기. 점토를 펴 다진 바닥 중앙부에서 강돌로 테를 돌려 만든 화덕자리[爐址]를 조사하였다.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 갈돌[石棒] · 봉 · 석제장식품 · 발화석(發火石) 등을 출토하였다.

②Ⅱ유형 : 한 변 4m 미만의 방형 움집터 3기. 바닥의 북편에는 세 면만 돌로 테를 돌린 화덕을 조사하였다. 겹아가리토기[二重口緣土器] · 짧은목단지[短頸壺] · 갈색간토기 · 갈돌 · 돌도끼 · 가락바퀴[紡錘車] 등을 출토하였다.

③Ⅲ유형 : 남북 장축의 장방형 움집터 10기. 진흙을 펴 다진 바닥의 북편에 강돌로 테를 돌려 만든 화덕을 조사하였다. 24호 움집터에는 장축방향으로 4열의 기둥구멍이 있으나 다른 움집에서는 명확하지 않다. 유물로는 겹아가리토기 · 깊은바리형토기[深鉢形土器] · 젖꼭지손잡이토기 · 흑색간토기 · 미송리형토기 · 돌도끼 · 반달돌칼[半月形石刀] · 돌살촉 · 돌창 · 숫돌 등을 출토하였다.

④Ⅳ유형 : 남북 장축의 장방형 움집터 9기. 진흙을 펴 다진 바닥의 북편에 강돌로 테를 돌려 만든 화덕이 2개씩 있고, 장축을 따라서 3열의 기둥구멍을 조사하였다. 움집 내에는 겹아가리토기 · 묵방리형토기 · 심발형토기 · 두형토기(豆形土器) · 돌도끼 · 반달돌칼 · 돌살촉 · 돌창 · 턱자귀[有段石斧] · 돌칼[石刀] · 돌끌[石鑿] · 톱니날도끼[多頭石斧] · 그물추 · 가락바퀴 · 장식품 등을 출토하였다.

⑤Ⅴ유형 : 장방형 · 원형의 움집터 3기. 1호 움집터에서 진흙을 펴 다진 바닥 동벽에 터널형의 ‘ㄱ’자형 난방시설을 조사하였다. 움집 내에서 김해식 토기 · 쇠도끼 · 쇠끌[鐵鑿] · 쇠손칼[鐵刀子] · 청동제 칼자루끝장식[劍把頭飾] 등이, 움집 밖에서는 명도전(明刀錢) · 포전(布錢) 등의 중국 화폐가 출토되었다.

특징

세죽리유적은 아래로부터 1문화층, 2문화층, 3문화층으로 나누어진다. 1문화층은 움집터 중 Ⅰ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신석기시대에 해당하고, 2문화층은 Ⅱ · Ⅲ · Ⅳ유형으로 미송리 · 묵방리형 토기가 나오는 청동기시대에 해당하며, 3문화층은 Ⅴ유형으로 고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초기철기시대에 해당한다.

의의와 평가

세죽리 유적은 지리적으로 한반도 동북 · 서북 · 중서부지방의 선사문화가 복합되어 나타나는 지역으로 그 문화사적 의미가 크다. 시기적으로도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 철기시대 및 고조선이라는 한반도 선사 · 역사문화의 변천 · 발달과정을 종합적으로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역사적으로는 중국계 철기문화의 수용과 고조선의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서기전 4∼3세기, 즉 중국 전국시대 이래 연(燕) 지역 주민들이 대거 이동하여 중국 동북의 요령(遼寧) 지역에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요동∼서북한 청천강 유역에서 철제 농기구 · 무기 등과 토착적 성격을 갖는 토기 등이 함께 출토하는데, 이를 두고 세죽리(世竹里) · 연화보(蓮花堡)문화라고 한다. 고조선은 서기전 3∼2세기 이래 중국 전국시대 연으로부터 들어온 철기문화의 영향을 받아 국가단계로 성장하였고, 한(漢)대에 이르러 한으로부터 새로이 병위재물을 얻어 이를 바탕으로 고대국가를 이루는 단계까지 나아갔다. 이처럼 고조선이 국가를 형성하는 데는 중국 전국계 철기문화의 영향이 컸다.

참고문헌

「세죽리·연화보유형 문화와 위만조선의 성장」(송호정, 『호서사학』 제48집, 2007)
「세죽리 유적 발굴 중간보고」1 (김정문, 『고고민속』 1964·2호, 1964)
「세죽리 유적 발굴 중간보고」2 (김영우, 『고고민속』 1964·4호, 1964)
「평북도 박천군·녕변군의 유적 조사보고」(고고학자료실, 『문화유산』 62·5, 1962)
「細竹里の 土器を めぐる 問題」(西谷正, 『松崎壽和先生六十三才論文集』, 1977)
집필자
한영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