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폐사지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일반형 석조 불탑. 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폐사지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일반형 석조 불탑. 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높이 3.8m. 199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층기단 위에 삼층탑신을 올린 일반형석탑으로 3층옥개석은 새로 조성하여 보충하였다.

하층기단은 갑석을 포함하여 모두 4매의 석재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의 각 면에는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1개의 탱주(撑柱 : 받침기둥)가 새겨졌으며, 탱주로 분할된 각 면에는 안상(眼象)이 1구씩 새겨져 있다.

갑석의 상면에는 복엽복판(複葉複瓣)의 복련(覆蓮)이 촘촘히 새겨진 상층기단 받침이 마련되어 있다. 상층기단은 4매의 판석으로 조립하였는데, 각 면에는 양 우주만 새겨졌다. 2매의 판석으로 구성된 상층기단 갑석의 하면에는 각형 1단의 부연이 있고, 상면에는 각형 2단의 초층탑신 받침이 조출되어 있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탑신석에는 양 우주가 새겨졌고, 초층탑신이 2층에 비해 약 3배 높게 조성되어 있다. 옥개석의 하면에는 층마다 각형 4단의 옥개받침이 조출되었고, 상면에는 각형 1단의 탑신받침이 각출되어 있다. 낙수면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보이고 있으며,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가 전각(轉角)에 이르러 낮게 반전(反轉)되고 있다.

이곳에 있던 사찰은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에 소실되었다고 하며, 석탑은 자양면 보현리 탑전마을에 있던 것을 이 사찰의 스님이 한밤중에 칡넝쿨로 매어 옮겼다는 전설이 전하고 있다. 이 석탑은 기단에 새겨진 안상과 연화문으로 장식된 상층기단 받침이 주목되는데, 각 부의 양식과 석재의 조립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 초반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경상북도문화재도록(慶尙北道文化財圖錄)』(동해문화사, 1985)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경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