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

오이
오이
식물
생물
박과에 속하는 1년생 덩굴식물.
내용 요약

오이는 박과에 속하는 1년생 덩굴식물이다. 식물 전체에 잔털이 나 있다. 잎은 대체로 삼각형이며 잎 가장자리에 3∼5개의 결각이 있다. 재배형태에 따라 노지오이·하우스촉성용 오이·터널 및 조숙재배용 오이 등으로 분류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하우스용 오이를 가꾸고 있다. 과채류 가운데 가장 분화가 많이 된 작물로 연중 생산되고 있다. 너무 건조하거나 재배조건이 나쁠 때는 쿠쿠르비타신이라는 알칼로이드계통의 물질이 생겨 맛이 쓰다. 수분이 95%로 특별한 영양가는 없으나 비타민이 풍부하다. 오이소박이·오이지·오이장아찌 등을 만들어 먹으며 오이냉국 등 다양한 요리에 이용된다.

정의
박과에 속하는 1년생 덩굴식물.
개설

학명은 Cucumis sativus L. 이다. 오이는 널리 재배하고 있는 식물로 식물 전체에 잔털이 나 있다. 잎은 대체로 삼각형이며 잎 가장자리에 3∼5개의 결각이 있다.

암꽃과 수꽃은 한 그루에 따로 피는데, 암꽃과 수꽃의 성비율은 단일조건 또는 안티옥신(anti-auxin)을 잎에 살포시켜 바꿀 수 있다. 생육 및 발아적온은 25∼30℃이고, 10∼12℃ 이하에서는 생육이 억제된다. 일반적으로 참외수박보다 많은 수분을 요구하지만 토양이 과습하면 발육이 나빠지고 병해가 나타난다.

토양은 유기질이 많고 주1이 크며 비옥한 토양으로서 토양산도 5.2∼7.2 범위에서 잘 자란다.

재배형태에 따른 분류

오이의 분류는 학자에 따라 다르나 세계적인 추세를 살펴보면 재배형태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즉, 노지오이 · 하우스촉성용 오이 · 터널 및 조숙재배용 오이로 분류하고 있다. 노지오이는 다시 샐러드용과 피클용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 나라의 노지오이는 재배기간이 한여름이므로 주2이 강한 계통이 재배되는데,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가시가 많고 길이가 30㎝ 이상되는 삼척오이 · 사엽오이가 여기에 속한다.

피클용 오이는 우리나라에서 거의 재배되지 않고 있다. 하우스 또는 촉성용 오이는 외형이 다소 길고 녹색인 계통과 짧고 담록색을 나타내는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녹색계통에는 유럽의 경우 90㎝까지 자라는 온실전용오이도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20∼30㎝ 정도로서 청장마디오이가 대표적이다.

담록색계통은 반백군(半白群)으로 서울마디오이 · 백록다다기오이 등이 있다. 터널 및 조숙재배용 오이를 유럽에서는 온상오이라고도 부르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하우스용 오이를 구별없이 일반적으로 가꾸고 있다. 재배형태는 우리 나라에서 가꾸고 있는 과채류 가운데 가장 분화가 많이 된 작물로 연중 생산되고 있다.

재배방법

재배형은 10∼1월에 하우스 안에서 파종하여 1∼4월에 수확하는 주3, 1·2월 상순에 파종하여 3∼6월에 수확하는 주4, 2·3월에 씨를 뿌려 5∼7월에 수확하는 주5, 4·5월에 노지에 직파하여 6∼8월에 수확하는 여름재배, 7·8월에 씨를 뿌려 9·10월에 수확하는 주6가 있다.

오이도 수박이나 참외처럼 싹을 틔워서 포트나 온상에 파종하여 약 30∼40일간 육묘하여 정식한다. 묘상에서 너무 야간에 고온상태로 관수를 많이 하면, 키만 자라서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약해지므로 유의해야 한다. 보통 육묘할 때의 야간온도는 15∼17℃, 주간은 22∼23℃가 되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

온상이나 비닐하우스에서 자란 오이모종을 본밭에 옮겨 심기 위해서는 옮기기 1주일 전부터 피복물을 늦게 덮는 등 일련의 조작으로 경화(硬化)시켜 저온에 견디는 힘을 길러 줄 필요가

시비량주8은 촉성재배의 경우, 흡수율이 낮으므로 10a당 질소 · 인산 · 칼리를 40㎏ ·30㎏ ·40㎏ 수준으로 시비하며, 조숙 및 노지재배에서는 25㎏ ·15㎏ ·25㎏ 수준으로 사용한다. 질소와 칼리는 덧거름으로 전량의 40∼50%를 3, 4회 나누어주는데 식물에 너무 가까이 시비하면 안

재식거리주7는 하우스재배시에는 이랑너비 90㎝에 두줄로 심는데 포기 사이는 45㎝가 되게 한다. 정식 뒤에는 대나무 등을 이용해서 지주를 세워 주어야 한다.

병으로는 잎에 담황색이나 담갈색의 반점이 생기는 주9, 황백색의 둥그렇고 오목한 병반이 생기는 주10이 많이 발생한다. 이때에는 지네브 및 마네브 400∼600배 액을 뿌려 방제한다.

수확은 개화 뒤 5∼10일에 실시한다.

효능 및 기능

오이는 오이소박이 · 오이지 · 오이장아찌 등을 만들어 먹으며 오이냉국 등 다양하게 이용되는 채소이다. 오이에는 수분 95%, 단백질 0.7%, 지방 0.1%, 탄수화물 3.4%, 섬유질 0.4%, 회분 0.4%로 특별한 영양가는 없으나 비타민A 56I.U., 비타민C 15㎎, 비타민B1 0.06㎎, 비타민B2 0.05㎎ 등이 풍부하여 우수한 비타민공급체이다.

가끔 쓴 오이가 있는데 이는 쿠쿠르비타신(cucurbitacin)이라는 알칼로이드계통의 물질 때문으로 너무 건조하거나 재배조건이 나쁠 때 생긴다.

참고문헌

『채소원예각론』(표현구 외, 향문사, 1982)
주석
주1

물질이 물을 보유하는 성질. 어떤 물질이 장시간 수분을 계속 유지하는 능력이나 토양이 수분을 보유하는 능력을 말한다. 우리말샘

주2

여름철에 식물체가 더위를 견디는 성질이나 능력. 우리말샘

주3

온실, 온상, 비닐하우스 따위를 사용하여 자연 상태로 자라는 것보다 빨리 자라게 하는 재배 방법. 우리말샘

주4

보통 재배와 촉성 재배의 중간이 되는 재배 방법. 우리말샘

주5

온상에서 모종을 길러 밭에서 가꾸는 방법. 농작물의 수확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우리말샘

주6

인공적으로 작물의 생육, 성숙의 시기를 억제하여 생산 및 출하의 시기를 조절하는 재배 방법. 우리말샘

주7

농작물을 심을 때에 농작물 사이의 거리. 포기 사이의 거리, 이랑 사이의 거리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8

거름을 주는 양. 우리말샘

주9

오이, 콩, 파, 포도 따위에 곰팡이가 기생하여 생기는 병. 잎에 엷은 노란색 또는 갈색의 반점이 생기다가 나중에는 잎이 말라 죽는다. 우리말샘

주10

농작물의 과실, 줄기, 잎에 누런 갈색의 병 무늬가 생기고 붉은색의 분생자(分生子) 덩어리가 생기는 병.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