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령 윤가촌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중국 요령성 대련시(大連市) 여순구 윤가촌에 있는 청동기시대 널무덤 · 독무덤 · 토기류 관련 복합유적.
정의
중국 요령성 대련시(大連市) 여순구 윤가촌에 있는 청동기시대 널무덤 · 독무덤 · 토기류 관련 복합유적.
개설

윤가촌의 서남쪽 남하 북쪽 기슭에 있다. 1964년 북한·중국의 공동고고학발굴대에 의해 조사되었다. 유적은 크게 아래층 문화와 위층 문화에 속하는 유적으로 나뉜다.

아래층 문화는 다시 아래층 1기 문화와 아래층 2기 문화로 구분된다.

내용

아래층 1기 문화에 속하는 유구로는 3기의 무덤과 8기의 움이 있다.

무덤은 모두 화장(火葬)한 작은 움무덤[土壙墓]으로 길이 1.6m, 너비 0.3∼0.7m 정도의 규모이다. 묘광 바닥과 벽은 불에 탔고 바닥에 재층이 있으며, 인골편도 남아 있었다. 부장품은 발견되지 않았다.

움의 형태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벽은 대체로 수직에 가깝다. 움은 지름 1.4∼2.2m, 깊이 0.5∼0.8m 정도이다. 움 속은 재와 숯으로 채워져 있었으며, 그 속에서 각종 유물이 출토되었다. 유물 중 토기는 주로 그은무늬[沈線文]가 있는 회갈색토기로 돌림판을 써서 구연부와 밑굽을 다듬은 것도 있다. 보시기·바리·굽접시·세다리시루 등의 기형이 있다. 석기로는 활촉·반달칼·낫·망치·방추차 등이 있다.

아래층 2기 문화에 속하는 유구로는 돌덧널무덤[石槨墓]·독무덤[甕棺墓] 및 움이 있다. 돌덧널무덤은 장방형의 토광을 파고 목관을 안치한 뒤 목관과 토광 사이에 판석을 세우고, 다시 목관 위에 판석을 덮은 구조이다. 신전장에 동침(東枕)이다. 부장품으로는 동검과 석제곤봉두, 갈색토기 등이 있다. 동검은 몸이 좁고 어임[抉入部]과 마디가 없는 형식이다.

움은 반원형과 불규칙적인 형태로 지름 1.9∼2.47m, 깊이 1.8∼1.9m 정도이다. 유물로는 갈색·회갈색의 무문토기가 대부분이다. 단지·항아리·보시기·굽접시가 있으며, 굽접시에는 글자가 새겨진 것도 있다. 이 밖에 도끼의 거푸집도 출토되었다.

위층 문화에 속하는 유구로는 대형 움무덤 5기, 독무덤 4기, 움 2기 등이 있다. 대형 움무덤은 모두 장방형의 토광을 수직으로 파서 만든 것으로 묘광바닥에는 나무관 또는 나무곽의 썩은 흔적이 보인다. 묘광의 바닥과 주위에 잔자갈을 채운 것과 부드러운 점토를 채운 것이 있다. 가장 큰 토광의 규모는 길이 3.5m, 너비 1.84m, 깊이 2.55m이다. 부장품으로는 토기·수정구슬·새뼈 등이 있다.

독무덤은 대체로 둥근 밑의 호형토기와 광구(廣口)옹형토기 2~3개를 연결한 것으로 회색토기·적갈색토기·승문토기 등을 사용했다. 모두 유아용이며 부장품으로는 쇠부스러기만이 출토되었을 뿐이다. 움의 형태는 원형으로 지름 1.6m, 길이 0.4m이다. 승문토기·기와편 등이 출토되었다.

이 위층에서 나온 주요 유물에는 기와·벽돌·단면 삼각형의 동촉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시기불명의 소형 움무덤도 발굴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유적의 연대에 대해 보고자는 위층 문화의 시기를 서기전 3∼2세기, 아래층 2기 문화의 시기를 서기전 5∼4세기, 아래층 1기 문화의 시기를 서기전 5세기 이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유물들로 보아, 연대가 보다 내려올 가능성이 많다. 이 유적을 한국식 동검문화(좁은 놋단검문화)와 관련해 보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중국동북지방의 유적발굴보고』(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집필자
이건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