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몽금보 ()

운몽금보
운몽금보
국악
문헌
조선시대 운몽거사의 「삭대엽」 · 「평조북전」 · 「우조북전」 등을 수록한 악보. 거문고고악보.
정의
조선시대 운몽거사의 「삭대엽」 · 「평조북전」 · 「우조북전」 등을 수록한 악보. 거문고고악보.
서지적 사항

필사본(筆寫本) 1책. 표지 없이 조음(調音)으로 겉장이 되어 있어 정확한 악보명(樂譜名)을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악보 마지막에 수록된 후발문(後跋文)을 통해 정해년 11월 운몽거사(雲夢居士)가 편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악보 편찬자의 이름을 붙여『운몽금보』라 지칭하였다. 현재 경기도박물관(京畿道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운몽금보』는 악곡의 가사를 생략한 뒤 한글 육보(肉譜)와 함께 적는 합자보(合字譜)의 기보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각 곡의 앞에 원전을 상세히 밝히고 있다. 정간(井間)이나 대강(大綱)을 사용하지 않고, 특히 북전(北殿)·중대엽(中大葉)·삭대엽(數大葉) 각각의 제1지(旨)는 지면(紙面)을 3등분하여 각 곡의 1·2·3을 수록하였다. 제2지와 제3지는 2등분하여 제1과 제2를 구분하였고, 제4지 이하는 지면을 나누지 않고 1·2·3의 공통선율을 기보하였다. 이와 같은 기보 방법은 다른 고악보(古樂譜)에서는 볼 수 없는 것으로, 실제 연주 시에 각 곡 제1·2·3의 차이점을 뚜렷이 알 수 있으며, 악보를 뒤로 넘기지 않고 동일 부분의 선율을 연주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전체는 조음(調音)·악곡(樂曲)·후발문(後跋文)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①조음에는 조음(調音), 우조조음(羽調調音), 평조반조음(平調半調音), 우조반조음(羽調半調音)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②악곡은 전체 28곡으로 편제되어 있다. 즉, 삭대엽, 평조 북전(平調 北殿), 평조계면조 북전(平調界面調 北殿), 우조 북전(羽調 北殿), 우조계면조 북전(羽調界面調 北殿), 평조 중대엽 1·2·3(平調 中大葉 1·2·3), 평조계면조 중대엽 1·2·3(平調界面調 中大葉 1·2·3), 우조 중대엽 1·2·3(羽調 中大葉 1·2·3), 우조계면조 중대엽 1·2·3(羽調界面調 中大葉 1·2·3), 평조 삭대엽 1·2·3(平調 數大葉 1·2·3), 평조계면조 삭대엽 1·2·3(平調界面調 數大葉 1·2·3), 우조 삭대엽 1·2·3(羽調 數大葉 1·2·3), 우조계면조 삭대엽 1·2·3(羽調界面調 數大葉 1·2·3), 회입조(回入調, 도드리)의 악보가 기록되어 있다. 악곡 다음에 후발문(後跋文)이 있다.

의의와 평가

『운몽금보』는『연대소장금보(延大所藏琴譜)』와 유사한 악곡 구성과 선율 등을 보이고 있어서 17세기 말∼18세기 초에 제작된 거문고 고악보(古樂譜)의 또 다른 전형을 제공해주는 가치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음악학자료총서-운몽금보·금보(양금보)·우헌금보·금헌금보-』32(국립국악원, 1997)
「운몽금보 해제」(송혜진,『한국음악학자료총서』32, 1999)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