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결 ()

목차
관련 정보
구수략
구수략
과학기술
개념
동양산학에서 기억하기 쉽게 수학 공식을 시 형식으로 만든 것을 가리키는 수학용어. 구결.
이칭
이칭
구결(口訣)
목차
정의
동양산학에서 기억하기 쉽게 수학 공식을 시 형식으로 만든 것을 가리키는 수학용어. 구결.
내용

전통 산학에서는 창조적 노력보다는 경전시(經典視)된 산서(算書)를 그대로 기억하는 일이 중요했으므로 가결의 형식을 중요하게 여겼다.

가결이 가장 유행한 시기가 중국에서 수학이 가장 침체됐던 명나라 때 였음은 매우 주목할 만한 일이다. 1450년에 발간된 오경(吳敬)의 『구장산법비류대전(九章算法比類大全)』에는 「난법가(難法歌)」가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것이 포함되어 있다.

… 白米三石五斗, 芝麻換得三石, 芝麻五斗五升, 知八斗小麥, 換己却有小麥換米, 九石六斗無移 知公能算間 端的不合人笑儞(백미삼석오두, 지마환득삼석, 지마오두오승, 지팔두소맥,환기각유소맥환미, 구석육두무이 지공능산간 단적불합인소이). ……(右西江月)

그 뜻은 백미 석 섬 닷 말은 지마(깨) 석 섬으로, 지마 닷 말 닷 되는 소맥(밀) 여덟 말로 환산할 수 있다. 소맥 아홉 섬 여섯 말을 백미로 바꾸면 얼마냐는 문제이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서강월의 가락이다. 즉, 수학 문제를 노래처럼 불렀던 것을 알 수 있다. 노랫가락으로 수학을 다룬 것은 『구장산법비류대전』이 최초의 것이다.

『산법통종(算法統宗)』은 이 책의 영향을 크게 받아 구결, 가결을 대폭 채용하였다. 특히, 수학의 학습요령, 주의할 점 등을 한시의 형식으로 기술하였고, 주판의 계산법에 관해서는 구귀가(九歸歌)라 하여 그 내용을 모두 시 형식으로 하고 있다. 그것은 중국, 일본에서 출판됨과 더불어 널리 보급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선시대 『구수략(九數略)』을 비롯하여 수많은 산서가 가결의 형식을 취하였다.

참고문헌

『산법통종(算法統宗)』
『구수략(九數略)』
『한국수학사(韓國數學史)』(김용운·김용국, 열화당, 1982)
『中國數學史』(商務印書館, 1959)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용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