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목차
관련 정보
넉가래
넉가래
산업
물품
흙을 뜨고 파는 데 쓰이는 연장.
이칭
이칭
가내(可乃), 험(杴)날가래, 넙가래
목차
정의
흙을 뜨고 파는 데 쓰이는 연장.
내용

『훈민정음해례』에는 ‘ᄀᆞ래[鍬]’로, 『천일록(千一錄)』에서는 ‘가내(可乃)’로, 『해동농서(海東農書)』에는 ‘험(杴)’으로 표기되었다. 끝에 쇠날이 달려 있어 ‘ᄂᆞᆯ가래’, 넓적하다 하여 ‘넙가래’라고도 하였다.

생나무를 자루와 몸이 하나가 되도록 깎고 둥글넓적한 몸 끝에 말굽쇠 모양의 쇠날을 끼웠다. 몸 양쪽에 구멍을 뚫고 줄을 꿰었으며, 한 사람이 자루를 잡고 흙을 떠서 밀면 양쪽에서 두 사람이 그 줄을 당겨 흙을 던진다. 줄의 길이는 대체로 자루의 길이와 비슷하다.

가래질은 줄꾼 두 사람과 장부(자루)잡이 한 사람 등 모두 세 사람이 하는 ‘세손목 한카래’가 있고, 장부잡이 한 사람과 줄꾼 여섯 사람 등 모두 일곱 사람이 하는 ‘일곱목 한카래’, 그리고 두 개의 가래를 연이은 것에 장부꾼 두 사람과 줄잡이 여덟 사람 등 모두 열 사람이 하는 ‘열목 카래’ 등이 있는데, 보통은 ‘세손목 한카래’로 일을 한다.

흙을 떠서 옮기는 일을 ‘가래질’이라고 하고 가래로 떠낸 흙덩이를 ‘가랫밥’이라고 한다. 또, 가래를 세워 흙을 깎는 일을 ‘칼가래질’, 논둑이나 밭둑을 깎는 일을 ‘후릿가래질’이라고 한다. 가래로는 소가 들어가지 못하는 진흙밭이나 물이 많이 나는 논을 갈고, 밭이랑을 일구기도 한다.

또, 흙을 떠서 던지는 데에도 쓰며, 도랑을 치고 논둑을 쌓거나 깎을 때, 집터를 닦거나 도로공사를 할 때 많이 쓰인다. 쇠를 통으로 부어 삽처럼 만들고 양 귀에 고리를 단 것이 흔하며, 남자 세 사람이 하루 600여 평의 진흙밭을 고를 수 있다. 수명은 대체로 4, 5년이며 재래식의 무게는 2.5㎏쯤 된다.

가래의 부분 명칭은 다음과 같다.

① 가래장부: 가래의 자루와 몸.

② 군두구멍: 가랫바닥의 좌우 양쪽에 뚫은 구멍으로 거기에 군두새끼를 꿴다.

③ 군두새끼: 군두구멍에 꿰어서 가랫줄을 얼러 매는 가는 새끼. 흙이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죽을 쓰기도 한다.

④ 꺾쇠: 가랫바닥과 날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박는 쇠못.

⑤ 군두: 가래의 날을 맞추어 끼우는 넓적한 판.

⑥ 가랫바닥: 가래의 몸으로 위에 긴 자루가 달리고 끝이 둥글삐죽하여 가랫날을 끼우게 된 넓적한 나무.

⑦ 각시노리: 가래의 양편에 있는 군두구멍을 얼러 맨 군두새끼가 감아 돌아간 장부의 목 부분.

⑧ 게재비 구멍: 가래 날개 위쪽으로 벌어진 틈으로 홈처럼 되어 있어 나무 바탕을 끼워 맞추는 자리.

⑨ 장부촉: 장부의 끝.

⑩ 가랫날: 가래 끝에 끼우는 쇠로서 삽 모양으로 끝이 둥글삐죽하고, 위는 가로 홈이 져서 가랫바닥의 끝이 끼게 되었으며, 양편에 꺾쇠구멍이 있다.

⑪ 살군두: 가래의 날을 장부의 바닥에 얼러 매는 줄로 꺾쇠 대신 쓴다.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1969)
집필자
김광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