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 ()

목차
관련 정보
가사
가사
국악
개념
가사체의 긴 사설을 노래한 우리나라의 전통 성악곡.
목차
정의
가사체의 긴 사설을 노래한 우리나라의 전통 성악곡.
내용

사설은 가곡이나 시조에 비하여 매우 길어서, 그 음악적 구조도 가곡이나 시조보다 확대된 형식을 보여준다. 노래의 양식이 가곡만큼 세련되지는 않았지만, 시조나 가곡과 함께 정가(正歌)의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사설의 길이가 대체로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가곡이나 시조에서와 같이 하나의 고정된 가락에 다른 사설을 얹어서 노래를 부를 수가 없다. 그러므로 사설에 따라서 가락이 조금씩 다르며, 조바꿈이나 반복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점이 가곡이나 시조와는 다르다.

오늘날까지 전래되고 있는 곡은 <춘면곡 春眠曲>·<백구사 白鷗詞>·<황계사 黃鷄詞>·<죽지사 竹枝詞>·<양양가 襄陽歌>·<어부사 漁父詞>·<길군악>·<상사별곡 相思別曲>·<권주가 勸酒歌>·<수양산가 首陽山歌>·<처사가 處士歌>·<매화타령 梅花打令> 등의 12곡으로 흔히 12가사로 알려져 있다.

정확하게 언제 발생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악장가사≫에 전하는 <어부가 漁父歌>가 12가사의 <어부사>와 같은 곡으로 생각되며, 그 <어부사>가 음악적인 면에서는 가사의 효시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고금가곡≫에 <죽지사>·<춘면곡>·<양양가>·<어부사>의 사설이 전하고, ≪청구영언≫에는 <백구사>·<황계사>·<춘면곡>·<길군악>·<상사곡>·<권주가>·<양양가>·<처사가>·<매화가> 등 9곡이, ≪남훈태평가 南薰太平歌≫에는 <백구사>·<춘면곡>·<상사별곡>·<처사가>·<매화가> 등 5곡, 그리고 ≪가곡원류≫에는 <어부가>의 사설이 전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으로 미루어 영조 이후부터 불리기 시작했으리라 추측되며, 현행 12가사의 전통이 성립된 시기는 한말인 금세기 초라는 것이 정설이다. 가사의 곡조를 담은 옛날 거문고 악보인 ≪삼죽금보 三竹琴譜≫에 <상사별곡>·<춘면곡>·<길군악>·<매화곡>·<황계곡>·<권주가> 등 6곡이 전하는 것으로 보아, 예전에는 가사도 가곡처럼 거문고 등의 반주에 맞추어 노래로 불렸으며, 비교적 중류 이상의 선비들에 의해서 연주되었으리라고 믿어진다.

현행 12가사의 전통은 가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민족항일기에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에서 비로소 아악생(雅樂生)들에게 전승되었다. 당시 가사 선생으로 하규일(河圭一)과 임기준(林基俊) 두 사람이 초빙되었다.

하규일은 1926년부터 아악생들에게 <백구사>·<황계사>·<죽지사>·<춘면곡>·<어부사>·<길군악>·<상사별곡>·<권주가> 등 8곡을 전수하였고, 임기준은 1939년부터 <수양산가>·<양양가>·<처사가>·<매화타령> 등을 전수하였다.

현행 12가사에 사용되는 장단은 6박자를 한 주기로 하는 장단과 5박자를 한 주기로 하는 장단 등 두 가지이다. 6박자 장단에 속하는 가사는 <백구사>·<황계사>·<죽지사>·<어부사>·<길군악><수양산가>·<매화타령>·<춘면곡> 등 8곡이며, <상사별곡>·<처사가>·<양양가> 등 3곡은 5박자 장단에 속하는 가사이다.

오직 <권주가> 한 곡만은 일정한 장단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불규칙적인 자유스런 장단의 반주로 불려진다. 이를 편의상 서양식 기호법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곡은 반드시 관현악 반주에 의해 연주되나 가사는 반주가 없어도 무방하며, 시조와 같이 장구장단에 의해 혼자 부르는 것이 원칙이다. 반주를 할 경우에는 피리나 대금 등 단(單)재비에 장구를 곁들여도 좋고, 좀더 범위를 넓혀 피리·대금·해금·장구로 편성하기도 한다.

반주하는 방법은 노래를 따라가는 ‘수성(隨聲)가락’이기 때문에, 반주하는 사람이 가사가락을 익히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가사 반주에 익숙한 악사가 적다는 것은 반주자가 가사를 부를 줄 모르고 노래의 뒤를 따라가는 안이한 태도를 갖는 데 그 원인이 있다.

가사의 가락은 가곡이나 시조와는 다른 여러 가지 음악적 특징이 나타난다. 첫째, 창법은 속청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창법은 여창 가곡이나 경제(京制)의 시조창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둘째, 전성법(轉聲法)·퇴성법(退聲法)·요성법(搖聲法)을 곡에 따라 적절히 사용한다.

요성법에서 <백구사>·<황계사>·<죽지사>·<권주가>·<춘면곡>·<길군악>·<상사별곡>·<처사가>·<양양가>·<매화타령>은 아악과 전라도 민요에서 보이는 요성법을 주로 쓰고 있다. <어부사>와 <수양산가>는 진폭이 넓은 서도소리식의 요성법을 쓰고 있으며, <권주가>와 <춘면곡>도 때로는 서도소리에 가까운 요성법을 쓰고 있다.

전성법에서 <백구사>·<죽지사>·<어부사>·<상사별곡>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수양산가>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황계사>·<춘면곡>·<처사가>·<양양가>는 4도 상행할 때 사용하고, <매화타령>은 4도 상행할 때 가끔 사용한다. <권주가>는 장2도 상행할 때 사용하고, <길군악>은 같은 음이 중복될 때 사이음을 전성한다.

퇴성법에서 <백구사>·<황계사>·<어부사>는 아악의 계면조나 시조에서 보이는 퇴성법을 사용한다. <죽지사>의 퇴성법은 가곡 우조의 퇴성법과 같고, <춘면곡>·<길군악>·<상사별곡>·<권주가>·<처사가>·<양양가>·<매화타령>은 장2도 혹은 단3도 하행할 때 퇴성법을 사용한다.

셋째, 종지법에서 <백구사>·<황계사>·<상사별곡>은 시조의 종지법과 같이 하행 4도의 종지를 한다. <처사가>와 <양양가>는 4도 하행 혹은 4도 상행종지를 한다. <춘면곡>·<어부사>·<권주가>·<매화타령>·<수양산가>는 4도 상행종지를 하나, <수양산가>는 5도 상행종지를 할 경우도 있다. <길군악>은 순차적 하행종지를 하고, <죽지사>는 잡가의 종지법과 비슷하다.

넷째, <죽지사>와 <길군악>에서 의미 없는 말로 구성된 입타령[口號]이 쓰이는데, 이것은 시조나 가곡에서는 없는 가사만이 갖는 특징이다.

다섯째, 조성(調性)은 분명하지 않으나, 계면조(界面調)와 같은 느낌을 주는 곡은 <백구사>·<어부사>·<상사별곡>이며, <죽지사>나 <길군악>의 조성은 가곡의 우조(羽調)와 비슷한 느낌을 준다. 그리고 평조(平調)의 특징을 내포하는 곡들은 <춘면곡>·<권주가>·<수양산가>·<처사가>·<양양가>·<매화타령> 등 6곡이다.

여섯째, 현행 12가사 가운데 <매화타령>과 <수양산가>·<양양가>·<처사가>의 가락은 하류층에서 많이 불린 잡가창법(雜歌唱法)의 영향을 받은 곡이다.

현행 가사의 악보로서 정간보(井間譜)로 채보(採譜)된 악보가 처음으로 출판된 것은 이주환(李珠煥)의 ≪가사보 歌詞譜≫이고, 그 뒤 이양교(李良敎)의 ≪십이가사전 十二歌詞傳≫이 출간되었다. 이 두 가지 정간보는 현행 12가사를 장구 반주보와 함께 기보해 놓았다.

이 밖에 그래프식(graph式) 기보법과 정간보로 채보한 정경태(鄭坰兌)의 ≪가사보 歌詞譜≫가 있다. 5선보로 채보된 악보로는 김기수(金琪洙)가 채보한 ≪한국음악≫ 제9집이 있다.

이러한 가사는 1971년에 중요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1975년 예능보유자로는 이양교와 정경태가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가사보』(이주환, 가곡연구회, 1960)
『십이가사전』(이양교, 중요 무형문화재 제41호 이양교전수소, 1970)
「십이가사의 음악적특징」(장사훈, 『한국전통음악의 연구』, 보진재, 1975)
『국악총론』(장사훈, 정음사, 1976)
『한국음악사』(장사훈, 정음사, 1976)
『전창십이가사』(장사훈·하규일·임기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