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산장전 ()

목차
고대사
개념
남북국시대 감산사를 짓기 위하여 통일신라의 제33대 성덕왕 연간에 중아찬 김지성이 희사한 토지 등의 재산.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감산사를 짓기 위하여 통일신라의 제33대 성덕왕 연간에 중아찬 김지성이 희사한 토지 등의 재산.
내용

일반적으로 장전(莊田)이란 대토지와 이를 관리하기 위한 장사(莊舍)를 지칭한다. 감산장전(甘山莊田)은 지금의 경주 불국사 서남쪽의 경상북도 경주시 내동면 신계리에 위치한 감산사지(甘山寺址)와 그 부근에 있었던 김지성의 대토지와 장사를 말하는 것이다.

김지성은 719년(성덕왕 18년) 2월 15일에 자신의 감산장전을 희사하여 감산사를 창건하고 이어 석조미륵보살입상(石造彌勒菩薩立像)과 석조아미타불입상(石造阿彌陀佛立像)을 조성하여 봉안하였다. 두 불상의 「광배명문(光背銘文)」에 의하면, 김지성은 상사봉어(商舍奉御)·집사시랑(執事侍郞) 등 고위관직을 역임하였으며, 국왕, 이찬(伊湌) 개원공(愷元公), 부모·동생·누이·전처(前妻)·후처(後妻) 등 자신의 가족 그리고 일체 중생의 복을 빌기 위해 감산사를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특히 미륵보살입상은 돌아가신 어머니 관초리부인(官草里夫人)을 위해, 아미타불입상은 망고(亡考:아버지) 인장(仁章) 일길간(一吉湌)을 위해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듬해 720년 발원자인 김지성이 죽자 석조아미타불입상에 추가로 명문을 새겨 김지성의 명복도 함께 빌게 되었다. 현재는 두 불상을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1962년 지정),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국보, 1962년 지정)으로 지정하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상(上)
「성덕왕대 전제왕권(聖德王代 專制王權)에 대한 일고찰(一考察)-감산사 미륵상-아미타상명문(甘山寺 彌勒像·阿彌陀像銘文)과 관련하여」(김영미, 『이대사원(梨大史苑)』22, 1988)
「신라법상종(유가종)[(新羅法相宗(瑜伽宗)]의 성립문제(成立問題)와 그 미술(美術) 상(上)」(문명대, 『역사학보(歷史學報)』62, 197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