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수국사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사관(史館)의 업무를 총괄하던 최고위 관직.
제도/관직
설치 시기
고려 전기
폐지 시기
1308년(충선왕 즉위년)
소속
사관
내용 요약

감수국사는 고려시대 사관(史館)의 업무를 총괄하던 최고위 관직이다. 감수국사는 시중이 겸임하는 것이 원칙이며 평장사·참지정사·정당문학과 같은 재신이 겸하기도 하였다. 1308년(충렬왕 34)에 사관을 문한서(文翰書)와 통합하여 예문춘추관으로 개편하였다. 1325년(충숙왕 12)에 춘추관을 예문관과 분리하고, 감수국사를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로 바꾸었다.

정의
고려시대, 사관(史館)의 업무를 총괄하던 최고위 관직.
설치 목적

고려는 초기부터 역사서를 편찬하는 관부인 사관(史館)을 설치하였다. 그 사관에 감수국사(監修國史)· 수국사(修國史)· 동수국사(同修國史)· 수찬관(修撰官)· 직사관(直史館) 등의 관직을 두었다. 그중 사관의 최고위 관직이 감수국사이다.

『고려사』 백관지에 따르면 시중이 감수국사를 겸하였다.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감수국사를 겸임한 인물을 보면 목종 때 한언공(韓彦恭), 문종 때 이자연(李子淵), 선종 때 김양감(金良鑑) 등이 있었다.

그렇다고 하여 감수국사를 모두 시중이 겸한 것은 아니었다. 광종 때 감수국사가 된 김정언(金廷彦)현종 때의 최항(崔沆)은 참지정사](參知政事, 종2품)였다. 성종 때의 최량(崔亮)은 내사시랑동내사문하평장사(內史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 정2품), 현종 때의 이공(李龔)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郎平章事, 정2품), 덕종 때의 왕가도(王可道)는 문하시랑동내사문하평장사(門下侍郎同內史門下平章事, 정2품)로 감수국사를 겸하였다.

고려 전기에 감수국사를 역임한 사람을 살펴보면, 문하시랑평장사, 중서시랑평장사, 참지정사, 정당문학 등과 같은 2품관 재신으로 대부분 감수국사를 겸임하였다. 감수국사를 비롯한 사관의 관원은 대체로 문과 급제자이었다. 그러나 무신집권기에 이르면 기홍수(奇洪壽), 최우(崔瑀), 최항(崔沆) 등 무관이 감수국사를 맡기도 하였다.

임무와 직능

감수국사는 국사를 주1하는 일 등 사관의 업무를 총괄하는 임무를 맡았다. 사관의 직제를 보면 크게 세 직급으로 나뉘었다. 먼저 상위에 있는 감수국사, 수국사, 동수국사 등은 국사를 수찬하는 일을 총괄하였다. 그 다음 수찬관은 국사를 직접 수찬하였다. 그 아래 직사관은 기사를 직접 기록하였다.

변천사항

1308년(충선왕 즉위년)에 충선왕이 사관을 문한서와 병합하여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으로 개편하였다. 1325년(충숙왕 12)에는 예문관춘추관을 분리하고 그 소속 관원의 직위와 품계를 개정하였다. 이에 따라 감수국사는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로 바뀌었다. 춘추관의 영춘추관사와 감춘추관사는 수상이 겸임하게 하였다.

1356년(공민왕 5)에 춘추관의 명칭을 사관으로 바꾸었다가 1362년(공민왕 11)에 다시 춘추관이라 칭하였다. 그 뒤 1375년에 예문관과 합쳐서 예문춘추관이라 하였다.

고려 후기 영춘추관사의 임명에 관해서는 공양왕 때에 한산부원군으로 책봉된 이색(李穡)을 영예문춘추관사(領禮文春秋館事)로 삼은 사례가 있다. 영춘추관사는 명예직으로 여겨지며, 사실상 춘추관의 최고 관직은 감춘추관사이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오항녕, 『사관제도 성립사』(일지사, 2009)
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 1』(집문당, 1999)

논문

신수정, 「고려전기의 사관제도」(『성신사학』 6, 성신여자대학교, 1988)
김성준, 「고려칠대실록편찬과 사관」(『한국중세정치법제사연구』, 일조각, 1985)
주석
주1

서책(書冊)을 편집하여 펴냄.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