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보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판서운관사를 역임한 과학기술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저서
수시력첩법입성(授時曆捷法立成)
주요 관직
서운사력|서운정|판서운관사
내용 요약

강보는 고려 후기에 판서운관사를 역임한 과학기술자로 천문과 역법에 능통하였다. 최성지로부터 수시력법을 전수받아 서운관에 근무하면서 서운사력, 서운정을 거쳐 벼슬이 판서운관사에 이르렀다. 『수시력첩법입성』을 저술하였다.

정의
고려 후기 판서운관사를 역임한 과학기술자.
가계 및 인적 사항

강보의 가계 및 인적 사항 관련 기록은 찾을 수 없다.

주요 활동

강보(姜保)는 천문 역법에 능통하여 고려시대 천문(天文), 주1, 주2, 주3 등의 일을 맡아보던 관청인 서운관(書雲觀)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1346년(충목왕 2) 11월에 서운승(書雲丞) 손광사(孫光嗣)가 쓴 『수시력첩법입성(授時曆捷法立成)』 서문에 따르면, 강보는 광양군(光陽郡) 최성지(崔誠之)로부터 역법(曆法)을 전수받았다. 1304년(충렬왕 29)경 최성지는 원나라에서 충선왕을 시종(侍從)하고 있었는데, 천문 역법에 능통한 원나라 과학기술자들로부터 수시력법(授時曆法)을 배웠고, 국내에 돌아와 이를 전수하게 되는데, 강보가 가장 뛰어났다고 한다.

천문 역법을 터득한 강보는 1335년(충숙왕 복위 4)에 서운사력(書雲司曆)으로 발탁된 후, 1346년(충목왕 2)에는 서운정(書雲正)으로 승진하였다. 1352년(공민왕 1) 1월 판서운관사(判書雲觀事)로 재직 중 국왕이 태묘에 직접 제사를 지내려 하자 이를 막아나섰다. 강보는 음양구기설(陰陽拘忌說)에 근거하여 국왕이 몸소 제사를 지내면 안 된다고 건의하였던 것이다. 이에 도당(都堂)에서는 제사가 나라의 중요한 행사라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강보를 크게 질책하였다. 재상들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공민왕의 모후인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지원에 힘입어 강보의 건의는 수용되었고, 국왕은 제사에 참여하지 않았다.

학문과 저술

강보는 서운관에서 근무하면서 서운정으로 재임하고 있을 때, 그가 알고 있는 수시력 관련 지식을 진사 이인실(李仁實)에게 받아쓰게 하여 서운관에 보관했는데, 이것이 『 수시력첩법입성(授時曆捷法立成)』으로 빛을 보게 되었다. 서문은 당시의 서운승(書雲丞) 손광사(孫光嗣)가 맡았으며, 간기는 1346년(충목왕 2) 11월로 되어 있다. 전사본으로 되어 있던 이 책은 1444년(세종 26) 갑인자로 인쇄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서운관지(書雲觀志)』
『수시력첩법입성(授時曆捷法立成)』

단행본

전용훈, 『한국 천문학사』(들녘, 2017)

논문

서은혜, 「여몽관계의 추이와 고려의 역법운용」(『한국사론』 63, 서울대 국사학과, 2017)
한영호 · 이은희, 「여말선초 본국역 완성의 도정」(『동방학지』 155, 연세대 국학연구원, 2011)
주석
주1

천체의 운행과 기후의 변화가 철을 따라서 돌아가는 순서.    우리말샘

주2

기상의 상태를 알기 위하여 천문의 이동이나 천기의 변화를 관측함.    우리말샘

주3

좁은 구멍을 통하여 물이 일정한 속도로 그릇에 떨어지게 하여, 고이는 물의 분량이나 줄어든 물의 분량을 헤아려서 시간을 재는 시계. 기원전 200년경 이집트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성덕왕 17년(718)에 처음으로 만들었는데, 양식이나 구조는 여러 가지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