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첨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서울 도성 내외의 야간 방범 순찰 및 경수소(警守所 : 야경초소)의 근무 상태 확인을 위해 사용된 목제 표찰.
목차
정의
조선시대 서울 도성 내외의 야간 방범 순찰 및 경수소(警守所 : 야경초소)의 근무 상태 확인을 위해 사용된 목제 표찰.
내용

때로는 야간에 긴급한 용무가 있는 관리나 민간인들의 통행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다. 1432년(세종 14)부터 시행되었는데, 처음에는 목생(木栍)이라 하였다. 나무를 깎아서 만들고 ‘某所某更栍[아무곳 아무경 생]’이라고 써서 사용처와 사용시간대를 명시하였다. 후에는 ‘某警守籤[아무경수첨]’이라고 써서 장소만 지정하였다.

병조 무비사(武備司)에서 관리, 운영하였다. 그 교부와 회수의 실무는 궁성 안에서는 선전관청이, 도성 내외에서는 순청(巡廳)이 담당하였다. 매일 저녁 각 경수소(세조 때 총 106개소)에 나누어주고 순관(巡官)이 시간[更]대마다 한 차례씩 돌면서 1개씩을 회수했다가 아침이 되면 모아서 병조에 반납하였다.

이것은 경수소의 야간근무 확인은 물론, 순관의 순찰 활동을 독려하기 위한 조처였다. 그러나 순관들이 한꺼번에 모든 경첨을 회수하고 순찰을 게을리하는 사례가 많았으므로, 병조에서는 불시에 숙직 낭청(郎廳)과 진무(鎭撫)를 출동시켜 감독하기도 하였다.

또, 야간통행증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즉, 통행금지시간(2∼5경)에 급한 공무·질병·사망·출산 등의 사유로 부득이 통행해야 할 관리나 민간인들이 가까운 경수소나 순찰관에게 고하면, 경수소의 근무자가 이것을 지참해 그들을 목적지에 데려다주고 다음 날 병조에 보고해 사실을 확인하게 한 것이다. 그 밖에 변방의 진영에서 순찰군이 사용하던 표찰도 경첨이라 하였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제승방략(制勝方略)』
『만기요람(萬機要覽)』-군정편(軍政篇)-
『경국대전주해(經國大典註解)』
『서울600년사』(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77)
「조선시대한성부연구(朝鮮時代漢城府硏究)-행정·치안·방위(行政·治安·防衛)를 중심으로-」(원영환, 성균관대학교대학원, 1985)
집필자
이영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