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복도감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에 제사 · 증시(贈諡)를 관장하던 전의시(典儀寺)에 소속된 관서.
목차
정의
고려시대에 제사 · 증시(贈諡)를 관장하던 전의시(典儀寺)에 소속된 관서.
내용

도감(都監)이란 국장(國葬)이나 국혼(國婚), 또는 국가중대사가 있을 때 흔히 설치하던 임시기구로서, 구복도감은 1344년 충목왕이 처음 즉위하여 금강산 유점사(楡岾寺)를 지원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즉, 명찰인 유점사의 영험을 통하여 국태안민(國泰安民)을 기원하고자 설치한 것으로 공민왕 때에 그 인원이 정하여졌는데, 종5품인 판관(判官)과 권무(權務)·녹사(錄事)를 두었다.

그러나 1353년(공민왕 2) 국용(國用)이 고갈되어 그 재원을 구복도감에서 마련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국가에서 유점사에 대한 기대가 전대와는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특수관부연구(高麗特殊官府硏究)」(문형만, 『부산사학(釜山史學)』 9, 1985)
집필자
이정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