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

구성 글씨
구성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호조참판, 해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원유(元裕)
초당(草塘)
시호
충숙(忠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8년(명종 13)
사망 연도
1618년(광해군 10)
본관
능성(綾城,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
주요 관직
호조참판|해주목사
정의
조선 중기에, 호조참판, 해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원유(元裕), 호는 초당(草塘). 구희경(具希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감찰 구순(具淳)이고, 아버지는 좌찬성 구사맹(具思孟)이며, 어머니는 증 영의정 신화국(申華國)의 딸이다. 인헌왕후의 오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85년(선조 18)에 사마시를 거쳐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권지승문원부정자(權知承文院副正字)가 되고 곧 박사로 올랐다. 1589년 승정원주서(承文院注書)로 천거되었으나 종형 구면이 한림(翰林)에 있어 상피(相避: 친족이나 서로 친밀한 관계에 있는 자는 같은 곳에서 벼슬하는 것을 피함)로 임명되지 못하였다.

예조좌랑·지제교(知製敎)를 거쳐, 정언(正言)으로 있을 때 기축옥사에 연루된 최영경(崔永慶)의 공초(供招: 죄인이 범죄 사실을 진술한 말)에 착오가 있어 파직되었다. 얼마 뒤에 병조좌랑으로 복직,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병조정랑을 지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임금을 호위해 개성에 이르러 변란의 책임이 이산해(李山海)에게 있다고 주장하다가 대간의 탄핵을 받았고, 이 일로 인해 이산해는 평해에 유배되었다.

시강원문학·지평(持平)을 거쳐, 응교(應敎)·집의(執義)·사간·필선(弼善)을 역임하고, 1593년에 동부승지·좌부승지·첨지중추부사를 거쳐서 1594년 형조참의·병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596년 호조참판으로 주문사(奏聞使)가 되어 연경(燕京)에 다녀온 뒤 장례원판결사·해주목사를 지냈다. 1601년 대사성으로 승진했으나 사양하였다. 1602년에 정인홍(鄭仁弘) 등이 기축옥사 문제를 다시 거론하면서 홍주로 유배되었다가, 1604년 아버지상을 당해 석방되어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그러나 이 때 대간의 심한 탄핵이 있었다.

1618년에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병으로 정청(庭請)에 참여하지 않았는데, 이를 처벌하자는 대간의 논의가 있었으나 마침 병으로 죽었다.

인조반정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택당집(澤堂集)』
『백헌집(白軒集)』
『송자대전(宋子大全)』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태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