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월산 ()

목차
자연지리
지명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과 은율군 남부면 · 일도면에 걸쳐 있는 산.
목차
정의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과 은율군 남부면 · 일도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945m. 우리 나라 4대 명산 중의 하나. 기반암은 흑운모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심한 풍화작용으로 도처에 기암 절벽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작은 내가 흘러 풍치가 아름다운 곳이 많아 명승지를 이룬다. 아사달산(阿斯達山)·궁홀(弓忽)·백악(白岳)·증산(甑山)·삼위(三危)·서진(西鎭) 등으로도 불린다.

구월산이라는 말은 이 산이 소재하는 구문화현(舊文化縣)의 고구려 시대의 지명인 궁홀, 또는 궁올(弓兀)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하는데 이것이 궐구(闕口)로 변하였고, 다시 미화되어 구월산으로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민간인 사이에서는 단군(檀君)이 아사달에서 9월 9일에 승천하여 신(神)이 되었으므로 구월산이라 일컫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최고봉은 사왕봉(思王峰 또는 思皇峰)이라 하는데, 이곳에서 사방을 둘러보면 동남쪽으로 안악·신천·재령 등의 평야 지대와 서북쪽으로 넓은 황해와 평안남도의 남포까지도 시야에 들어온다. 또한, 북동쪽에는 오봉산(859m)이, 남쪽에는 아사달봉(阿思達峰, 687m)·비산(飛山, 583m) 등이 있다.

옛날에 단군이 수도를 평양에 정하였다가 이곳 구월산에 옮기고 수 천 년간 나라를 다스렸다고 전한다. 산에는 단군에 관한 성적(聖蹟)이 곳곳에 있는데 단군이 있었다는 장당경(藏唐京), 환인(桓因)·환웅(桓雄)·단군을 모시는 삼성사(三聖祠), 단군이 올라가 나라의 지리를 살폈다는 단군대(檀君臺), 활쏘는 데 사용한 사궁석(射弓石) 등이 지금도 남아 있다.

아사달봉은 아사달과 관계가 있는 것 같고, 여기서 동쪽으로 멀지 않은 곳의 ‘장재이벌’은 장당경의 옛터라고 전한다.

은율읍 동쪽 4㎞ 지점에 구월산성이 있다. 주위 1만4386척, 높이 15척이고, 배 모양으로 되었는데, 1012년(현종 3) 여진족과 거란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축성한 것이다. 성 안에는 4개의 우물과 2채의 창고가 있으며, 두 줄기의 작은 내가 흐른다.

구월산에는 고려 시대 이후 불교 사찰이 많이 지어졌으며, 오래된 15개의 사찰과 8개의 암자가 있다. 대표적 사찰로는 산 동쪽(山內)에 있는 패엽사(貝葉寺, 일명 寒山寺)와 산 서쪽(山外)에 있는 정곡사(停轂寺)가 있다.

패엽사는 신천군 용진면 패엽리에 있는데 신라시대의 구업대사(具業大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며(法深이 창건하였다는 이설이 있음.), 우리나라 불교 31본산 중의 하나이다.

본전 한산전(寒山殿)은 구도가 우수하고 세부가 번잡하지 않아 조화의 극치를 이룬다. 월정사(月精寺)·묘각사(妙覺寺)·낙산사(洛山사) 등 황해도내 25개 사찰을 관할한다.

정곡사는 은율읍에서 동쪽으로 8㎞ 지점에 있는데 일도면의 원정사(圓井寺)와 같이 구월산 중의 명찰이다. 정곡이라는 절 이름의 연기는 고려 말기 공민왕 때 노국공주(魯國公主)를 모시고 나왔던 원나라의 주태사(周太史)가 수레를 멈추었다는 데 있다. 그리고 고려 시대의 여러 임금들이 절 부근의 산수풍경을 사랑하여 자주 수레를 멈추었다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대웅전은 조선 초기의 건축으로 그 규모가 웅장하고 화려하며, 맑은 냇가에 있는 청풍루(淸風樓)는 청정세계(淸淨世界)를 연상하게 한다. 절에는 주태사의 영전이 봉안되어 있다.

정곡사에서 시냇물을 따라 2㎞쯤 올라가면 용연폭포(龍淵瀑布)가 장관을 이룬다. 이 폭포의 물은 구월산 상봉에서 흘러내려 수원이 길고 멀기 때문에 어떠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다. 주민들은 이 폭포가 기우제에 영험이 있다고 믿는다.

허균(許筠)은 이 폭포를 보고 “백 길이나 되는 저 깊은 소용돌이 저 속에 많은 신룡(神龍)이 도사리고 있지는 않을는지.”라고 읊었다.

절 입구에서 오른쪽으로 조금 가면 삼형제폭포가 있는데, 3필의 흰 비단폭을 걸쳐놓은 것 같은 모양의 기이한 경관을 이룬다. 구월산 남쪽 기슭의 맑은 시내인 구월천을 따라 내려가면 신천군 초리면 달천리에 달천온천(達泉溫泉)이 있고, 그 서남쪽의 궁흥면 온천리에도 삼천온천(三泉溫泉)이 있다.

부근에는 청나라 대군에 대항하여 외롭게 분투하였으나 중과부적으로 전사한, 이름도 모르고 성만 아는 황모(黃某)의 기념비인 황의사비(黃義士碑)가 외로이 서 있다.

달천온천 동북쪽에는 유릉(柳陵)이라고 불리는 문화 유씨의 선조묘가 있다. 그리고 부근에 유응두(柳應斗)가 자주 찾던 묵방사(墨坊寺)의 명승지는 지금은 묵방재(墨坊齋)가 되어 유릉을 지키는 재실로 변하였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지지(大東地志)』
『황해도지』(황해도, 1970)
『황해도지』(황해도지편찬위원회, 1982)
집필자
노도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