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성 ()

고대사
유적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도성 유적.
유적
건립 시기
서기 3년
관련 국가
고구려
길이
동벽 약 550m, 서벽 약 665m, 남벽 약 750m, 북벽 약 715m
둘레
약 2.7km
소재지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시〔集安市〕
내용 요약

국내성은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있는 고구려의 도성 유적으로, 네모반듯한 모양의 평지에 둘러쌓은 성으로 비정된다. 전체 둘레는 약 2.7km이다. 현전하는 석축 성벽은 4세기에 쌓아져 만들어졌는데, 3세기 중반 이후부터 도성 경관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평양으로 천도하는 427년까지 고구려의 도성 역할을 하였다.

정의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도성 유적.
위치와 입지

국내성(國內城)이 위치한 지안 분지는 압록강 중류 일대에서 가장 넓은 평지가 펼쳐져 있는 곳으로, 기후도 농사짓기에 알맞아 '소강남'으로 불리기도 한다. 북쪽의 노령산맥에서 뻗어 내린 용산(龍山), 우산(禹山), 칠성산(七星山) 등이 지안 분지를 감싸며, 남쪽으로는 동북에서 서남으로 압록강이 흐른다.

국내성은 네모반듯한 모양의 석축 평지성으로, 압록강과 통구하(通溝河)가 만나는 지안 분지의 중심부인 강안 충적 대지에 위치한다. 서쪽의 통구하와 남쪽의 개울을 자연 주1으로 삼고, 북쪽의 우산과 남쪽의 압록강을 주2으로 삼는다. 국내성에서 약 3㎞ 북쪽에는 환도성으로 추정되는 산성자산성(山城子山城)이 자리하며, 약 4㎞ 동북쪽에는 광개토왕릉비가 서 있고, 약 4㎞ 서남쪽에서 지안고구려비가 발견되었다.

구조와 공간구성

국내성은 20세기 초 이래 여러 차례 조사되었는데, 2000~2003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그 구조와 공간구성은 다음과 같다.

동벽 약 550m, 서벽 약 665m, 남벽 약 750m, 북벽 약 715m로, 전체 성벽의 둘레는 약 2.7km이다. 성벽은 잘 다듬은 쐐기형 돌로 가지런하게 쌓았으며, 각 모서리에는 주3가, 성벽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치(雉)가 설치되었다. 성문은 동문 2개, 서문 1개, 북문 4개, 남문 2개 등 9개가 확인되었고, 대체로 주4 구조로 조성되었다.

성 내부에는 성문을 연결하는 간선도로망으로서 동서 도로 2개와 남북 도로 3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간선도로는 성 내부를 12개 구역으로 구분하는데, 그중 중앙에 있는 제6구역에서 대형 건물지를 비롯한 대규모 건물군과 최고급 외래품이 확인되어 왕궁지로 추정된다.

한편, 12개 구역 중 대부분의 구역에서 4세기 초부터 유행한 권운문와당(卷雲文瓦當)이 출토됨에 따라 4세기 전반의 국내성 내부는 기와와 와당 등을 사용한 고급 건축물이 골고루 분포했던 지배 세력의 집중 거주 구역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조성 연대에 관한 해석

국내성의 조성 연대에 관해서는 3세기경 설과 4세기경 설 등의 이견이 있다. 국내성의 석축 성벽 아래에서 한나라 시대 토성의 흔적이 확인되었다는 1984년의 발굴 보고에 따라 국내성은 한나라 시대에 처음 축조된 후 고구려가 이어 사용했다는 해석이 있었지만, 2000년대 이후의 발굴 조사를 통해 세 가지 측면의 비판점이 제기되었다.

첫째, 2000년부터 2003년까지의 발굴 조사에 따르면, 석축 성벽 아래에서 한나라 시대 토성의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고, 오히려 석축 성벽 안쪽 흙으로 쌓은 건축물의 바닥 부분에서 성벽 축조를 위해 조성된 성토층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성토층은 주5주6 등에서도 확인된다.

둘째, 2009년과 2011년의 발굴 조사에서는 성벽 가장 안쪽 흙으로 쌓은 건축물의 기초 부분에서 출토된 토기의 조각들이 4세기 초로 편년되었다.

셋째, 성 내부의 발굴 조사 결과, 국내성 최하단부 문화층에서는 권운문와당, 동진(東晉) 대 청자 등 대체로 4세기 이후의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발굴 조사에 따라 국내성의 초축 시점을 『삼국사기』 고국원왕 12년(342)의 '국내성 축조' 기사로 추정하기도 한다. 고고학적 정황을 중시하는 4세기경 설이다. 한편, 비록 현전하는 석축 국내성은 4세기 이후에 축조되었더라도 지안 분지의 초대형 돌무지무덤들이 3세기 중후반부터 만들어졌다는 점, 3세기 중반에 편찬된 『삼국지』에서 고구려 도성을 '환도산 아래'라고 전하고 있는 점, 『삼국사기』 동천왕 21년(247)의 '평양성'을 지안의 평지성(국내성)으로 추정할 수밖에 없다는 문헌 사료의 정황을 중시하는 점 등으로 견고한 석성 이전에 이미 도성의 경관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이는 문헌 사료의 정황을 중시하는 3세기경 설이다.

국내 위나암과 국내성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에는 3년(유리왕 22)에 국내로 천도했다고 전하는데,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이때부터 평양으로 천도하는 427년까지 국내가 고구려의 도성이었다고 전한다. 유리왕 대의 '국내 위나암(國內 尉那巖)'과 4세기 이후의 '국내성'을 동일시한 결과였다. 국내성이 지안의 평지성으로 추정된다면, 국내 위나암은 지안 북쪽의 산성자산성뿐이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대로, 4세기 이후의 '국내성'으로 추정되는 지안 지역에서는 3세기 이전의 고구려 도성과 관련된 고고학적 물증이 확인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삼국사기』에서 묘사된 '국내 위나암'의 지형적 특징도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유리왕 대의 '국내 위나암'과 4세기 이후의 '국내성'을 구분하기도 한다.

이에 따르면, 유리왕 대 국내 위나암을 새롭게 추정할 수밖에 없는데, 환런의 오녀산성설과 지안의 패왕조산성설 등의 이견이 있다. 한편, 비록 고고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더라도 문헌 사료의 '국내 위나암'과 '국내성'을 구분하기는 어렵다고 보면서 위나암성을 지안의 산성자산성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
『삼국지』

단행본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ㆍ集安市博物館, 『國內城』(文物出版社, 2004)

논문

권순홍, 「고구려 도성 내 평지 성곽의 출현과 그 기능」(『역사학보』 244, 2019)
여호규, 「高句麗 國內城期의 도성 경관과 토지 이용」(『고구려발해연구』 65, 2019)
임기환, 「고구려 國內 遷都 시기 再論」(『사학연구』 132, 2018)
임기환, 「고구려 전기 都城 관련 기사의 재검토-기사의 原典 계통을 중심으로-」(『역사문화연구』 65, 2018)
이정빈, 「고구려의 국내성 · 환도성과 천도」(『韓國古代史硏究』 87, 2017)
김현숙, 「고구려 초기 王城의 위치와 國內 遷都」(『선사와 고대』 54, 2017)
강현숙, 「고구려 초기 도성에 대한 몇 가지 고고학적 추론」(『역사문화연구』 56, 2015)
여호규, 「고구려 도성의 구조와 경관의 변화」(『삼국시대 고고학개론1』, 진인진, 2014)
양시은, 「고구려 도성 연구의 현황과 과제」(『고구려발해연구』 50, 2014)
노태돈, 「고구려 초기 천도에 관한 약간의 논의」(『한국고대사연구』 68, 2012)
여호규, 「고구려 國內城 지역의 건물유적과 都城의 공간구조」(『한국고대사연구』 66, 2012)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 集安市博物館, 「集安國內城東, 南城垣考古淸理收獲」(『邊疆考古硏究』 11, 吉林大學 邊疆考古硏究中心, 2012)
심광주, 「高句麗 國家 形成期의 城郭硏究」(『고구려의 국가 형성』, 고구려연구재단, 2005)
주석
주1

성 주위에 둘러 판 못.    우리말샘

주2

밖으로부터 쳐들어오는 것을 막으려고 쌓은 벽.    우리말샘

주3

성벽 위의 모서리에 지은 누각. 적의 동태를 살피기 위한 것으로,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쓰였다.    우리말샘

주4

쇠로 만든 독처럼 튼튼하게 둘러쌓은 산성이라는 뜻으로, 방비나 단결 따위가 견고한 사물이나 상태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에 있는 삼국 시대의 성. 임진강과 한탄강이 만나는 지대에 조성된 평지성이다. 성벽 가운데 가장 높은 동벽 정상부와 서쪽 끝부분에 장대가 설치되었으며, 성으로 진입하는 문은 동벽 남쪽에만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사적이다.    우리말샘

주6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에 있는 삼국 시대의 성. 임진강과 한탄강이 만나는 지대에 조성된 강안(江岸)의 평지성이다. 서쪽 부분이 뾰족한 삼각형 구조 때문에 가로막아 쌓은 동쪽 성벽은 매우 높게 구축되어 있으며, 단애 지대를 따라 구축된 남과 북의 성벽은 낮게 축조되었다. 우리나라 사적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권순홍(경희대 연구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