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뢰복 ()

목차
의생활
물품
조선시대 군뢰(軍牢 : 군대에서 죄인을 다루던 병졸)의 복식.
목차
정의
조선시대 군뢰(軍牢 : 군대에서 죄인을 다루던 병졸)의 복식.
내용

군뢰들은 몸에 꼭 끼는 소매의 소창의(小氅衣)나 협수포(狹袖袍 : 좁은 소매의 웃옷)를 입고 그 위로 속칭 더그레라고 하는 호의(號衣)를 입었으며, 그리고 그 위에 전대(纏帶, 戰帶)를 두르고 아래에는 흰 행전을 둘렀으며 미투리를 신었다.

호의는 특히 그들의 소속을 나타내는 상의(上衣)로서 그 소속에 따라 여러 가지 빛깔이 있었는데, 주로 그 소속을 5방색(五方色)으로 구분해서 동은 청, 서는 백, 남은 홍, 북은 흑, 중앙은 황의 빛깔이었다. 전대는 남색무명으로 너비 10㎝, 길이 3m 정도 되게 만들고 양쪽 끝을 터놓고 삼각형이 되게 하여 돈이나 물건을 넣을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붉은 상모(象毛, 槊毛)가 달린 벙거지[氈笠]를 쓰기도 했으나 주로 주전립(朱氈笠)을 썼다. 주전립은 ‘군뢰복다기’라고도 하는데, 군뢰가 군장(軍裝)을 할 때 쓰던 갓으로서 붉은 천으로 만들고 남색 천으로 안감을 대는데 반달모양의 형체였으며, 전을 걷어올리고 앞에는 길이 10㎝, 너비 8㎝ 정도 되는 주석으로 만든 용(勇)자를 붙이고, 전립 위에 꼭지처럼 만든 꾸밈새인 증자(鏳子)에는 청전우(靑轉羽)를 달았다.

그리고 이들은 군아(軍衙)에서 죄인을 다루는 일을 주로 맡아 보았으므로 주장(朱杖)이나 곤장(棍杖) 등을 들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칼을 차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원항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정조(正祖)의 현륭원행차시(顯隆園幸次時)의 궁중의례복식고(宮中儀禮服飾考)」(조효순, 『복식』5, 한국복식학회, 1981)
「평안감사환영도(平安監司歡迎圖)의 복식사적고찰(服飾史的考察)」(이주원, 『복식』4, 한국복식학회, 198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