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법사 ()

목차
관련 정보
개풍 귀법사지 석탑
개풍 귀법사지 석탑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영남면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4대 광종 당시 창건한 사찰.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영남면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4대 광종 당시 창건한 사찰.
내용

963년(광종 14)에 왕이 대원(大願)을 발하여 국찰로서 송악산 아래에 이 절을 짓고 친히 승려들을 공양했으며, 균여(均如)를 초대주지로 삼았다.

또한, 당시의 실력자 최충(崔冲)이 이곳에서 예비 등용문인 하과(夏課)를 베풀었다. 즉, 최충은 매년 여름이 되면 이 절의 승방에서, 벼슬을 하지 못하고 집안이 가난한 선비들을 모아서 구경삼사(九經三史)를 강의하는 한편, 시로써 서로의 실력을 겨루게 하였다.

선비들이 시를 짓고 차례로 그 것을 읊조릴 때는 동자들을 좌우에 늘어서게 하여 위의를 갖추었으며, 장유유서의 범절을 엄격히 지켰다. 이 모임은 아침에 시작하여 저녁이 되면 흩어졌는데, 보는 이들이 감탄을 아끼지 않았다 한다.

또한, 이 절은 광종 이후 목종·선종·의종 등 여러 왕의 행차가 잦았으며, 중요한 법회의식이 거행되어 당시로서는 최대의 국찰이었다.

특히, 1085년(선종 2)선종이 이 절에 행차해 반승(飯僧)을 베풀었고, 1087년 대장경을 봉안하는 법회에 참석하였다. 의종은 1161년 4월 초 이 절에 들러 한달을 넘게 머물렀으며, 1166년(의종 20) 수문전(修文殿)에서 백고좌회(百高座會)를 열기도 하였다.

폐사연대 등은 알 수 없으나, 이정구(李廷龜)의 《화담기 花潭記》에는 이 절의 옛터에 석주가 남아 있었다고 했으며, 1945년 이전에는 거대한 당간석주와 함께 초석들이 산재해 있었다.

참고문헌

『고려사』
『동국여지승람』
『한국사찰전서』 상(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병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