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산곡 ()

고전시가
작품
조선 후기에 침굉(枕肱, 懸辯)이 지은 불교가사.
정의
조선 후기에 침굉(枕肱, 懸辯)이 지은 불교가사.
구성 및 형식

작품은 2음보 1행으로 헤아려 88행이며, 국한문혼용체이다. 이른바 「침굉가사(枕肱歌辭)」 3편 가운데 하나이다. 작자의 문집인 『침굉집』에 실려 있다.

내용

내용은 세간의 명성이나 영화가 모두 허사이니 승복 한 벌과 표주박 하나로 한가로운 숲속과 고요한 골짜기에 임의로 다니면서 청빈을 낙으로 삼아 지내겠다는 물외한승(物外閑僧 : 세속에 관계하지 않고 한가롭게 지내는 중)의 초탈한 산중 생활태도를 노래한 것이다.

어려서 출가하여 휴정(休靜)의 법을 이은 소요태능(逍遙太能)의 문하에 13세 때 들어간 자신을 그리면서 도를 닦는 즐거움을 동시에 나타내었다. 작자가 승려이지만 일반 신도들을 향해 불교를 믿으라고 포교한 내용이 아니라는 점이 특이하다.

의의와 평가

사대부들이 물외(物外)에 처하여 안분(安分)하려는 뜻에서 지은 은일가사(隱逸歌辭)와 일맥상통하며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았다는 점이 주목된다.

작자가 윤선도(尹善道)와 내왕을 자주 하였다는 사실이 이러한 측면의 이해에 참고가 된다. 그러나 작품의 짜임새가 사대부층의 작품에 비해 떨어지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참고문헌

『한국불교가사전집(韓國佛敎歌辭全集)』(이상보, 집문당, 1980)
「불교가사(佛敎歌辭)의 연구(硏究) 상(上)」(이상보, 『국어국문학논문집』 7·8, 동국대학교, 1969)
「침굉대사(枕肱大師)와 그의 가사(歌辭)」(이은상, 『국어국문학연구』 6, 청구대학, 1962)
「미발표(未發表)의 침굉가사(枕肱歌辭)에 대하여」(김봉영, 『국어국문학』 20, 1959)
집필자
이상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