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언해 ()

금강경언해
금강경언해
언어·문자
문헌
세조 · 한계희 등이 『금강경』을 풀이하여 1464년에 간행한 언해서. 불교경전언해서.
이칭
이칭
금강경언해
정의
세조 · 한계희 등이 『금강경』을 풀이하여 1464년에 간행한 언해서. 불교경전언해서.
편찬/발간 경위

본문과 육조혜능(六祖慧能)의 구결(口訣)에 한글로 토를 달고 번역하였다. 『반야심경언해(般若心經諺解)』와 함께 간행되었다.

권두에 간경도감 도제조 황수신(黃守身)의 「진금강심경전(進金剛心經箋)」과 효령대군(孝寧大君)·해초(海超)·김수온(金守溫)·한계희(韓繼禧)·노사신(盧思愼)의 발문, 권말에 번역광전사실(潼譯廣轉事實: 金剛經事實이라고도 함)이 있어 번역·간행 경위가 소상히 나타나 있다. 전(箋) 뒤에는 간행에 관여한 황수신 등 관원의 관직과 이름이 열기되어 있다.

1462년 9월 세조가 꿈에 『금강경』에 대한 물음을 세종한테서 받았고, 요절한 의경세자(懿敬世子)를 만났으며, 중궁(中宮)도 또한 꿈에 세종이 이룩한 불상을 보았다는 데 감격하여 『금강경』의 번역을 결심한 것이다. 세조 자신이 토를 달고 한계희에게 번역하도록 하는 한편, 효령대군과 판교종사(判敎宗事)인 해초(海超)를 비롯한 승려에게 교정, 연구하게 하여 간행하였다고 한다.

서지적 사항

불분권 1책(일반적으로 상·하 2권 2책으로 통용됨). 현재 원간본계통으로는 1495년(연산군 1)에 인출(印出)된 책이 가장 완전하고 상태가 좋다. 이 책에는 발문과 번역광전사실 등이 삭제되어 있다. 책 끝에 목활자로 된 인출할 때의 학조(學祖)의 발문이 있다. 이와 비슷한 하권 1책이 서울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

같은 계통의 상권 1책(소장자 미상)을 저본으로 한 석판본이 광복 직후에 간행되었으며, 이 석판본을 저본으로 한 영인본이 1977년대제각(大提閣)에서 간행되어 널리 유포되었다.

원간본을 복각한 중간본은 1575년(선조 8)전라도 안심사(安心寺)에서 간행되었다. 그 책판이 6·25전쟁 이전까지 보존되어 있었다. 1932년한용운(韓龍雲)이 책판을 보수하여 많은 부수를 인출하였다. 보판(補板)도 있으므로 원본과의 구별에 주의를 요한다.

내용

이 책은 『능엄경언해』·『법화경언해』·『원각경언해』와 같은 계통의 중세국어 연구자료인데, 각자병서(各自並書)의 표기가 마지막으로 나타난 간경도감의 언해서란 점에서 특이하다. 즉, 『능엄경언해』와 『법화경언해』에서는 ‘ᄒᆞᇙ가, ᄒᆞᆯ까’로 표기되던 어형이 이 책에서는 ‘ᄒᆞᆯ까’로 되었는데, 이듬해의 『원각경언해』에서는 ‘ᄒᆞᆯ가’로 표기되었다. 따라서 정서법의 변천을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ㅵ’ 합용병서는 나타나지 않고 ‘ㆆ’은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만 사용된다. 방점이 찍혀 있으나 언해문에만 나타나 있고 구결에는 찍지 않았는데, 이는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다른 언해서들과 동일한 성격이다.

국가에서 주도하여 간경도감을 중심으로 불경 언해를 본격적으로 진행하던 시기의 자료이므로, 다른 간경도감의 체제나 번역 양식과 균질적인 모습을 보여 15세기 국어를 연구하는 데는 물론이며, 훈민정음 창제 직후 비교적 짧은 시기에 이루어졌던 정서법의 변천을 살피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불교 교리 연구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국어표기법(國語表記法)의 역사적연구(歷史的硏究)』(이기문, 한국연구원, 1963)
「중세어(中世語)의 한글자료(資料)에 대한 종합적(綜合的)인 고찰(考察)」(안병희, 『규장각』3, 1979)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안병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