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계집 ()

목차
관련 정보
금계집
금계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학자, 황준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58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황준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58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내집 5권, 외집 9권, 합 14권 5책. 목판본. 내집은 1584년(선조 17) 동생 수량(秀良)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이산해(李山海)와 이광정(李光庭)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에 있다.

내집은 권1∼3에 시 235수, 권4·5에 잡저 17편, 발 1편, 행장·제문 각 1편, 외집은 권 1∼6에 시 562수, 권7·8에 소 2편, 전 3편, 서(書) 19편, 잡저 26편, 제문 2편, 묘지명 2편, 대책 2편, 권9는 부록으로 행장 1편, 제문 5편, 반사 2수, 기문 2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문집은 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산해는 발문에서 그의 시는 성정(性情)에 근본을 두고 음률에 맞아 형식과 내용의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그 뜻이 심원하다고 평하였다. 서(書)는 스승인 이황(李滉)에게 보낸 것이 많으며, 대부분 유학·교육·학문 등에 관한 단편적인 의견들을 제시하고 있다.

내집의 「청혁양종소(請革兩宗疏)」는 문정왕후가 수렴청정하면서 보우(普雨)를 등용해 불교의 부흥을 꾀하고, 선종과 교종을 부활시켜 승과(僧科)를 시행하는 데 이르자, 그에 반대하는 내용의 상소문이다. 「여녹봉정사제생서(餘鹿峰精舍諸生書)」는 학문의 중요성을 강조, 권면하는 내용이다. 이밖에 상산사호(商山四皓)의 실존여부를 논변한 「사호유무변(四晧有無辨)」이 있다.

외집의 「단양진폐소(丹陽陳弊疏)」는 단양군수로 있을 때 군민의 실정을 보고한 것으로, 단양은 본래 원주의 속현인데 적을 잘 막아서 군으로 승격이 되었으나, 40호 밖에 되지 않으므로 부역과 세금을 경감해줄 것을 청한 내용이다. 「답퇴계선생논사칠변서(答退溪先生論四七辨書)」는 이황의 사칠논변 가운데 의문이 나는 곳을 지적, 논변한 것이다.

그밖에 형(刑), 인정(仁政), 군자의 학문 등을 논한 「책문(策問)」, 정전법(井田法)에 대해 의견을 피력한 「균전의(均田議)」, 『동국통감강목』을 찬진(撰進: 임금에게 책을 만들어 바침)하면서 그 내용을 설명한 「예조청찬동국통감강목전(禮曹請撰東國通鑑綱目箋)」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