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옥총부 ()

목차
관련 정보
금옥총부
금옥총부
고전시가
문헌
조선후기 가객 안민영이 시조 180수를 수록하여 1885년에 편찬한 시조집.
정의
조선후기 가객 안민영이 시조 180수를 수록하여 1885년에 편찬한 시조집.
개설

필사본. 저자의 자서와 작품해설로 추정해볼 때, 이 가집은 그의 『가곡원류』 국악원본(國樂院本)보다 9년 늦은 1885년(고종 22), 즉 그가 70세 되던 해에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이 시조집은 서울대학교 가람문고본, 충남대학교 소장본, 이명선(李明善) 소장본의 3종이 있으며, 그 체재와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내용

체재와 내용을 보면, 우선 가곡원류능개재만록(歌曲源流能改齋漫錄), 논곡지음(論曲之音), 논오음지용유상생협률(論五音之用有相生協律), 박효관(朴孝寬)의 서(序), 평조·우조·계면조, 가지풍도형용십오조목(歌之風度形容十五條目), 안민영의 서가 있다. 그 다음에 시조작품들이 23개 항목의 곡조에 따라 분류되어 수록되었다.

그 분류내용을 보면, 곡조를 우조초삭대엽(羽調初數大葉)·이삭대엽(二數大葉)·중거삭대엽(中擧數大葉)·평거삭대엽(平擧數大葉)·두거삭대엽(頭擧數大葉)·삼삭대엽(三數大葉)·소용(騷聳)·회계삭대엽(回界數大葉)·계면조초삭대엽·이삭대엽·중거삭대엽·평거삭대엽·두거삭대엽·삼삭대엽·언롱(言弄)·롱·계악(界樂)·우악(羽樂)·언악(言樂)·편악(編樂)·편삭대엽(編數大葉)·언편(言編)·편시조(編時調) 등의 23개 항목으로 나누었다.

곡조의 각 항목에 시조를 수록한 것이 모두 180수이다. 180수 가운데서 가곡원류계 가집에 다른 작자로 표기된 것을 제외하면, 안민영의 자작 작품은 100수 정도로 추정된다. 시조작품들은 각 수마다 5장으로 나뉘어 있고, 작품 뒤에는 그 작품에 대한 해설이 부기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가객 안민영이 만년에 편찬한 만큼, 수록작품은 그의 작품의 전모라 할 수 있으며, 가집으로서 뿐만 아니라 시조집으로서도 구비된 체계를 갖추고 있다. 또한, 개인 가집으로는 『이세보시조집(李世輔時調集)』(461수)과 함께 그 의의가 주목된다.

참고문헌

「금옥총부연구(金玉叢部硏究)」(심재완, 『청구대학논문집』 4, 1961)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심재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