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계림로 보검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계림로 보검
경주 계림로 보검
공예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서 발견된 칼.
내용 요약

경주 계림로 보검은 경상북도 경주시 미추왕릉 지구에서 발견된 칼이다. 197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발견 당시 철제 검신과 목제 칼집은 썩어 거의 없어졌다. 칼자루 머리·칼자루·칼집 세 부분의 칼집 장식들만 남아 있다. 전체 길이가 36cm 단검인데 화려한 장식이 표면에 베풀어진 이국적인 작품이다. 표면은 금판이고 장식의 중간과 외곽에 금알갱이를 붙여 화려함을 더했다. 이 보검은 장식이 동유럽과 서역에 분포되었던 고대 보검과 유사한 표현 형식이다. 신라와 중앙아시아의 문화 교류와 신라 문화의 국제적인 성격을 증명하는 귀중한 유물이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서 발견된 칼.
개설

197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973년 당시의 경주 시가지 중심부에 자리한 고분공원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발굴조사가 진행되었고 계림로에 위치한 고분군은 봉토의 존재가 잘 드러나지 않는 작은 규모의 무덤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그 가운데 14호묘는 길이 3.5m, 너비 1.2m 크기에 불과한 작은 무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크기의 왕릉급 무덤에서 출토되는 유물과 비교해 전혀 손색이 없는 화려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내용

이 무덤의 출토품 가운데 가장 주목받은 유물이 피장자의 허리춤에서 출토된 장식 보검(寶劍)이었다. 전체 길이가 36㎝에 불과한 단검이지만 화려한 장식이 표면에 베풀어져 있어 한눈에 보아도 상당히 이국적인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발견 당시 철제 단검인 검신(劍身)과 목제의 칼집은 썩어 거의 없어지고 칼자루 머리 · 칼자루 · 칼집 등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칼집 장식들만이 남아 있었다.

손잡이 끝은 반원형이고 손잡이 장식이 세로로 가늘고 긴 형태로서 칼집 입구의 장식은 옆으로 길죽한 장방형과 그 아래쪽에 받침모양의 장식이 부가되어 있었다.

표면에는 금판으로 만든 외곽 안으로 S자형, 네모형, 사다리꼴, 나뭇잎, 바람개비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작은 구획들로 나뉘어져, 그 속에 둥근 형태, 나뭇잎형, 콤마형과 인동무늬의 주1 구슬을 끼워 넣었다. 장식의 중간과 외곽에 금알갱이를 붙여 넣어 화려함을 더하였다.

측면에는 벨트에 걸 수 있도록 2개의 돌출부를 만들었는데, 윗쪽의 장식은 P자 모양이고, 아랫쪽의 장식은 반원모양이다.

이 보검에 보이는 것과 같은 다채(多彩) 장식은 고대 그리스, 로마, 이집트, 서아시아 등지에서 널리 유행한 기법이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훈(Hun)족의 아틸라 제국(434∼454)에서 5세기대에 성행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아울러 계림로 보검과 매우 유사한 의장을 지닌 칼(5세기경에 제작)이 러시아 에르미타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외에도 이란, 아프카니스탄, 중앙아시아의 벽화에도 이 보검과 유사한 단검을 패용한 인물이 그려져 있는 것이 확인된다. 그 가운데 우즈베키스탄의 아프라시압 벽화에 보이는 사절도 가운데 이와 똑같은 장식 보검을 찬 인물이 표현되어, 이 보검이 당시 널리 사용된 형식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멀리 동유럽과 서역에 걸쳐 분포되었던 고대의 장식 보검이 어떤 이유인지 몰라도 신라의 수도인 경주의 작은 무덤에 매납된 것임이 주목된다.

따라서 이 보검은 당시 신라와 중앙아시아의 문화교류와 신라 문화의 국제적인 성격을 증명하는 매우 귀중한 유물임에 분명하다. 즉 당시에 중국의 북위(北魏)는 페르시아를 비롯한 주변의 많은 나라와 활발한 정치 · 경제적 관계를 유지했을 뿐만 아니라 북위의 수도에는 늘 많은 외국인과 고구려와 신라의 조공 사절들이 자주 왕래하였다. 각국과 활발하게 문물을 교류했던 북위와 신라의 교류관계를 통해 이 보검이 신라로 흘러 들어왔던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공예 Ⅰ-고분미술』(이한상, 예경, 2006)
『황금의 나라 신라』(이한상, 김영사, 2004)
『고분미술Ⅰ·Ⅱ』(이영훈·신광섭, 솔출판사, 2003)
『국립경주박물관 고고관』(국립경주박물관, 통천문화사, 2002)
『신라 황금 –신비한 황금의 나라』(국립경주박물관, 씨티파트너, 2001)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이난영,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주석
주1

카메오 세공(細工)에 쓰는 옥수(玉髓). 흰색과 붉은 갈색의 줄무늬가 있는 보석의 하나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응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