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총 금제 관식 ( )

목차
관련 정보
천마총 금제 관식
천마총 금제 관식
공예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위치한 신라시대 무덤인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제 관식.
이칭
이칭
금제접형관식(천마총)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78년 12월 07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위치한 신라시대 무덤인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제 관식.
개설

197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매의 얇은 금판을 좌우대칭으로 도안을 그린 후 오려 만든 관식으로서 관모의 앞부분에 꽂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인 외모는 조익형 관식과는 다르게 새 날개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비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나비모양 관식은 의성 탑리(塔里)에서 출토된 관식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동 시기의 작품으로 경상북도 경주 황오동 100번지 1호분 출토 은제 관식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관식은 일반적으로 조익형 관식에 비해 크기가 작은 편이며, 관식이 재질이나 문양에 따라 착용자의 신분이 구분되던 점을 감안하면 조익형 관식의 착용자보다 낮은 계급의 인물이 착용하던 형태인 것을 추측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천마총 관식의 경우 재질과 출토상태를 볼 때 1978년 보물로 지정된 천마총 금제 관식과 동일한 사용자의 것일 가능성도 있다.

내용

세부를 표현한 기법은 함께 출토된 조익형 관식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다. 중간과 좌우 날개 쪽에는 끝이 둥근 역심엽형(逆心葉形) 혹은 안상(眼象) 모양의 장식이 투조로 표현되었는데 가운데에 5개, 좌우에 각 3개씩 장식하였다. 이러한 역심엽형 문양은 신라에서는 금관총 금모관에 시문된 것이 가장 이른 예이며, 이후 황오동 100번지 1호분의 관식에서 끝을 뾰족하게 끌어내어 변형된 모양으로 장식하였다. 천마총에서 출토된 공예품 중 은제드리개에도 용무늬와 함께 이 무늬가 베풀어져 있으며 과대의 수하식에도 보인다. 수하식의 각 판마다 모두 이와 동일한 형태의 문양이 판의 중앙에 투조되어 있다. 이 문양은 백제의 6∼7세기대 금공품에서 크게 유행하는 문양이며 하트(heart) 모양 무늬의 변형으로 보인다. 부여 능산리 능안골 36호분, 부여 하황리 고분 등에서 출토된 백제의 은화 관식에서 이러한 심엽형 투조 문양을 찾아 볼 수 있다. 이 문양은 통일신라 초기까지 계속 전해지다가 이후 사라지는 것으로 보이는데, 통일신라의 공예품 중에는 안압지에서 출토된 금동 장식판에서 문양을 일부나마 확인할 수 있다.

관모에 부착하는 그트머리 부분은 단면이 ‘∧’상이며 부착용 못구멍이 1개 뚫려 있다. 뚫음 무늬의 가장자리와 전체 문양 장식부의 테두리에 연속점 무늬를 베풀었으며 전면에 모두 150여 개의 둥근 달개를 금실로 꼬아 매달았다.

참고문헌

『공예 Ⅰ-고분미술』(이한상, 예경, 2006)
『황금의 나라 신라』(이한상, 김영사, 2004)
『고분미술Ⅰ·Ⅱ』(이영훈·신광섭, 솔출판사, 2003)
『국립경주박물관 고고관』(국립경주박물관, 통천문화사, 2002)
『신라 황금 –신비한 황금의 나라』(국립경주박물관, 씨티파트너, 200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응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