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몽 ()

은송당집 / 차중기몽
은송당집 / 차중기몽
한문학
작품
조선 후기에 이상적(李尙迪)이 지은 한시.
이칭
이칭
거중기몽
정의
조선 후기에 이상적(李尙迪)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칠언절구로, 원제목은 ‘거중기몽(車中記夢)’이지만 흔히 줄여서 ‘기몽’이라고 한다. 작자의 문집 『은송당집(恩誦堂集)』과 『대동시선(大東詩選)』에 실려 있다.

내용

수레를 타고 가면서 꿈을 꾼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의 꿈은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작자의 현실적인 꿈이다. “갖옷 덮고 앉았다 깜박 잠이 들어, 어렴풋이 꿈결에 집에 갔었네. 시냇가의 집엔 눈이 개었으나 쓰는 이 없고, 한그루 매화 아래 문지기는 학이로다(坐擁貂裘小睡溫 依依歸夢訪家園 雪晴溪館無人掃 一樹梅花鶴守門).”

잠깐 잠이 들어 꿈속에 집에 갔더니, 냇가의 집은 눈이 그쳐 날이 개었지만 쓰는 사람도 없고 다만 처자(妻子)가 집을 지키고 있다는 내용이다. 직접 ‘처자’라는 말을 쓰지 아니하고 ‘매처학자(梅妻鶴子)’의 고사를 빌려 한폭의 그림을 그리고 있는 이 시는 그의 시의 회화적 성격을 그대로 보여준 것이라 하겠다.

의의와 평가

이상적은 특정한 시인의 시풍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다독을 위주로 하였기 때문에 “마굿간의 말들도 다 나의 스승이라(天閑萬馬是臣師).”라 하여 겸손한 자세를 보였다.

이 시에서 추구하고 있는 것도 외화(外華)보다는 내연하는 아름다움이다. 그의 시가 염일(艶逸)한 서곤체(西崑體)의 영향이 큰 것으로 평가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참고문헌

『청조문화동전(淸朝文化東傳)의 연구(硏究)』(등총린, 197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민병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