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우만 ()

송사문집
송사문집
근대사
인물
개항기 때, 호남지방에서 기삼연과 합세하여 호남창의 총수로 활약한 의병장.
이칭
회일(會一)
송사(松沙)
이칭
기참봉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6년(헌종 12)
사망 연도
1916년
본관
행주(幸州)
출생지
전라남도 장성
정의
개항기 때, 호남지방에서 기삼연과 합세하여 호남창의 총수로 활약한 의병장.
개설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회일(會一), 호는 송사(松沙).  전라남도 장성 출신. 참봉 벼슬을 하였으므로 기참봉으로 불렸다. 호남에서 이름에 높았던 참판 기정진(奇正鎭)의 손자로서 학업을 이어받아 일찍이 문유(文儒)로 추앙받았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94년(고종 31) 동학운동 당시에 유생들이 동학에 가담한 사실을 유생의 수치로 여겼으며, 1895년(고종 32) 나주에 세워진 동학당 토평비의 비문을 짓는 등 동학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1895년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이어 단발령이 내려지자 머리를 깎는 욕은 나라가 망하는 것보다 더한 일이라며, 머리를 깎고 사느니 차라리 머리를 안 깎고 죽는 편이 낫다는 통분의 상소를 하였다.

1896년(고종 33) 2월 제천의진의 창의대장 유인석(柳麟錫)의 격문이 호남지방에까지 영향이 미치면서 의병 봉기의 기운이 짙어져 갔다. 3월 광주향교(光州鄕校)에서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을 모아 규칙을 정하고 전략을 의논하는 등 준비에 철저를 기하였다.

그 동안 이러한 소식을 접한 사람들이 속속 모여들어 의병의 형세가 커지자 관리들은 자기들 신변에 위험을 느껴 모두 도피하였다. 이때, 장성의 기삼연이 장정과 군사 300명을 이끌고 와 합세하게 되자 그 기세는 더욱 높아졌다. 이로써 사실상의 호남창의 총수가 되었다.

각 고을에 통문을 보내어 모든 의진을 일제히 광주로 모이도록 하고 광주의 광산관(光山館)을 본영으로 삼았다. 그러나 고종으로부터 의병을 해산시키라는 명으로 파견된 주1 신기선(申箕善)의 설득으로 해산하고 말았다. 5월에 장성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켰으나 10월 16일 왜군에게 붙잡혀 옥고를 치르고 1897년(고종 34) 4월에 석방되었다.

1908년 2월 순천 조계산의 암자에서 동지 · 문인들과 재거사를 꾀하던 중에 고종이 강제 퇴위당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북쪽을 향하여 통곡한 후 해산하고 은둔하였다.

저술활동

유저로는 『송사집(松沙集)』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제국기 호남의병 연구(홍영기, 일조각, 2004)
『한말 호남지역 의병운동사 연구』(홍순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자료집』2·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1971)
『독립운동사』1·7·8(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1976)
『한국독립사』(김승학, 독립문화사, 1965)
주석
주1

나라에 병란(兵亂)이 있을 때에,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백성에게 훈유(訓諭)를 알리던 임시 벼슬. 또는 그런 벼슬아치.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박성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