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간, 사헌, 예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정수(廷叟)
둔곡(遁谷)
시호
정헌(靖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5년(명종 20)
사망 연도
1653년(효종 4)
본관
풍산(豊山)
주요 관직
예조참판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간, 사헌, 예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정수(廷叟), 호는 둔곡(遁谷). 공조참판 김양진(金楊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순정(金順貞)이고, 아버지는 장령 김진(金鎭)이며, 어머니는 정세신(鄭世臣)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2년(선조 35)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정언(正言)·사서(司書) 등을 거쳐 문학(文學0}})에 재임 중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을 겸해 임진왜란으로 불탄 사고의 정비에 참여하였다. 그 뒤 헌납(獻納)·전적(典籍)·예조정랑 등을 지낸 뒤 홍원현감으로 외직에 나갔다.

1610년(광해군 2) 호분위부사직(虎賁衛副司直)으로 『선조실록(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했으며, 수찬(修撰)으로 유영경(柳永慶)을 탄핵하는 언론 활동을 행사하기도 하였다. 이어 장령(掌令)·검상(檢詳) 등을 지낸 뒤 정주목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었다.

1619년 사은부사(謝恩副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승지(承旨)가 되었으며, 인조반정 이후 우부승지·호조참의 등을 거쳐 대사간에 임명되었다.

곧 대사헌으로 전직되었다가 의정부에서 이조판서 이귀(李貴)와 서로 언쟁을 벌인 일이 화근이 되어 이후 계속 대립하였다. 그 뒤 도승지·이조참판·대사간·사헌 등을 번갈아 역임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으로 인조와 신하들이 남한산성에서 청나라 군사에 의해 포위되어 항복을 강요당할 때 이에 반대하고 끝까지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최명길(崔鳴吉) 등 주화파의 주장으로 화의 국서가 작성될 때도 척화를 끝까지 내세웠으며, 인조와 조신들이 모두 항복할 때도 연로하다는 이유로 호종하지 않아 척화의 의지를 분명히 했다.

1644년 예조참판으로 재직 중 나이가 80세라고 해 자헌대부(資憲大夫)에 가자(加資)되고 우참찬에 올랐다. 시호는 정헌(靖憲)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전고대방(典故大方)』
『대동야승(大東野乘)』
집필자
장동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