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병조참판, 예조판서, 지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화(子和)
졸재(拙齋)
시호
공간(恭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455년(세조 1)
본관
김해(金海)
주요 관직
예문관검열|부제학|좌부승지|한성부윤|병조참판|예조판서|지중추원사
관련 사건
계유정난
정의
조선 전기에, 병조참판, 예조판서, 지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김해(金海). 초명은 김빈(金鑌), 자는 자화(子和), 호는 졸재(拙齋).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학문에 정진했고 특히 역산(曆算)에 정통하였다. 1411년(태종 11) 식년 문과에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해 예문관검열이 되고, 1416년에 문과 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425(세종 7) 인동현감 재직 중 집현전사찬에 발탁, 이후 교리(校理)·직장(直長)·부제학(副提學)을 역임하면서 갑인자(甲寅字) 주조와 간의대·자격루의 제조에 참여하는 등 세종대의 과학 발달에 기여하였다.

특히 1438년 천추전(千秋殿) 서쪽에 한 칸 남짓한 조그마한 집을 짓고 종이를 발라서 약 7척 정도의 산을 만들어 그 안에 옥루기(玉漏機)를 설치, 이 집을 흠경각(欽敬閣)이라 하였다. 1441년 좌부승지가 되면서 조(銚)라는 이름을 받았다.

1443년 우승지에 승진되었으나, 세종의 온양 행차 수행 중에 충청도관찰사 이익박(李益朴)으로부터 쌀·콩 등 물품을 받은 사건으로 인하여 사헌부가 김조에 대한 탄핵 상소를 올렸으나 세종이 윤허하지 않았다. 같은 해 4월에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로 관직을 옮겼다. 그 해 충청도관찰사로 파견, 이후 형조참의·경상도관찰사·한성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1447년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를 다녀왔다. 이듬해 병조참판에 발탁되었으나, 곧 병조정랑 이현로(李賢老)와 좌랑 윤배(尹培)가 향화인(向化人) 홍사을마(洪沙乙麽)를 자의로 사직(司直)에 임명한 사실이 탄로날 때, 병조의 일을 철저히 감독하지 못했다는 문책을 받고 의금부에 하옥되었다가 외방에 중도부처(中道付處: 죄질이 가벼워 유배지로 가는 도중에 자신이 원하는 곳에서 귀양살이를 하는 형벌), 곧 방면되었다.

또한 같은 해에 이전에 병조참판 재직시 신맹린(辛孟磷) 등을 내금위(內禁衛)에 충속시킨 사건으로 문책을 받아, 다시 의금부에 하옥된 뒤 외방에 부처되었다. 1450년(세종 32) 방환(放還)되었고, 세종이 위독해지자 추은(推恩)을 받아 직첩을 돌려받았다.

같은 해 형조참판에 복직되었고, 이듬해 사은부사가 되어 고명(誥命: 중국이 조선의 왕을 인정해 주는 사령)을 내려준 명나라에 감사의 뜻을 전하고 돌아왔다. 같은 해에 찬진된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의 교열에 김종서(金宗瑞)등과 함께 참여했으며, 영릉비(英陵碑)의 음기(陰記: 비석 뒷면에 새기는 기록)를 지어 올렸다.

1453년(단종 1) 호조참판이 되었고, 같은 해 10월 계유정난이 성공한 뒤 예조판서로 승진했고,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로서 『문종실록(文宗實錄)』의 찬수에 참여하였다. 1455년 지중추원사로 옮겼다가 죽었다. 시호는 공간(恭簡)이다. 1455년 원종공신 2등에 추록되었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
『대동기문(大東奇聞)』
집필자
한충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