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질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효행으로 알려져 명종에게 표창을 받았으며, 『영모록』, 『육사자책설』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문소(文素)
영모당(永慕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96년(연산군 2)
사망 연도
1555년(명종 10)
본관
안동(安東)
정의
조선 전기에, 효행으로 알려져 명종에게 표창을 받았으며, 『영모록』, 『육사자책설』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문소(文素), 호는 영모당(永慕堂). 안변부사 김언룡(金彦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을만(金乙萬)이고, 아버지는 통례원찬의(通禮院贊儀) 김복중(金福重)이며, 어머니는 주부(主簿) 이원경(李元經)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평양 토관(土官)으로 1528년(중종 23) 모친상을 당하였는데, 묘소에서 어머니의 3년상을 마치는 동안 부인마저 멀리하여 동네 사람들은 지극한 효도에 감동, 묘소가 있는 산을 ‘제청산(祭廳山)’이라 하였다. 홀아버지를 효성으로 모시다가 그마저 죽자 옷이 해어지도록 갈아 입지 않고 풀과 채소로 연명하며 3년간 여묘(廬墓: 묘근처에 조그마한 처소를 지어 그곳에서 생활함)하면서 삭망·4명절·소상(小祥) 때 정성껏 제사를 지냈다.

집이 가난하여 제사에 쓸 제물이 없어 통곡을 하니 날던 꿩이 떨어졌다 하며, 제사에 쓸 장을 쥐가 흐려놓아 이를 한탄하니 밤 사이에 쥐들이 무리를 지어 장독 아래에 죽어 있었다고 한다. 1546년(명종 1) 명종이 김질의 효행을 듣고 특별히 정려(旌閭)를 내려 표창하였다.

특히, 김질의 인물됨을 높이 사서 김인후(金麟厚)는 그의 집을 영모(永慕)라 하였으며, 유희춘(柳希春)도 그의 행위를 경모하였다. 한때는 기대승(奇大升)·양응정(梁應鼎)과도 교유하였다. 저서로는 『영모록(永慕錄)』·『육사자책설(六事自責說)』이 있다. 사후 효행이 널리 알려져 정문이 세워졌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이재전서(頤齋全書)』
『포암집(圃巖集)』
집필자
문수홍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