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운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의로가」, 「안택사」, 『동곡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명거(冥擧)
동곡(東谷)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6년(영조 2)
사망 연도
1811년(순조 11)
본관
강릉(江陵)
출생지
미상
정의
조선 후기에, 「의로가」, 「안택사」, 『동곡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명거(冥擧), 호는 동곡(東谷). 김정윤(金廷尹)의 손자이다. 한때 부모의 권유로 향시에 나가 합격하기도 하였으나, 공명에 대한 뜻을 버리고 후학을 가르치는 데 전념하여, 배우러 오는 사람들이 수백 명에 이르렀다.

생애 및 활동사항

그는 『심경(心經)』·『근사록(近思錄)』·『주자대전』 등 성리학 서적의 연구에 일생을 보냈으며, 말년에는 역학을 깊이 탐독하였다.

천지와 사물의 변천과정과 길흉과 소장(消長)의 심묘한 근원을 찾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또, 자기의 생각을 노래로 지어 제자들을 가르치니 그것이 바로 「의로가(義路歌)」·「안택사(安宅詞)」이다.

학행과 덕성이 뛰어나, 그 고을에 부임하는 수령들은 연말에 쌀과 고기를 보내어 정을 표하였다. 특히, 관찰사로 부임한 권이진(權以鎭)·민응수(閔應洙)·윤순(尹淳)·이종성(李宗城)·이종백(李宗白) 등은 편지로 안부를 묻고, 윤헌주(尹憲柱)와 송인명(宋寅明)이 관찰사로 왔을 때와 조명교(趙命敎)·이성효(李聖孝)가 어사로 왔을 때는 포상하여 조정에 보고하였다.

뒤에 심리사(審理使) 이일제(李日濟)의 천거로 예빈시참봉이 되었다. 저서로는 『동곡집(東谷集)』이 있다. 1816년에 관찰사 이태중(李台重)의 건의로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동곡집(東谷集)』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