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두각시전 (꼭두각시)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내용 요약

「꼭두각시전」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이다. 이 작품은 지체가 낮고 못생긴 여자 주인공이 행복을 이루기까지의 과정을 담고 있다. 이러한 작품의 서사는 소설뿐 아니라 판소리 사설, 잡가, 민요, 설화, 민속 인형극 등의 다양한 민속 예술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소설에서는 민요와 설화의 여러 설정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꼭두각시라는 개성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인물을 창조하고 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이본

1책으로 국문 필사본과 활자본이 있다. 필사본은 국립중앙도서관본과 ‘○○각씨젼호녹’이라는 표제가 붙은 구 김동욱(金東旭) 주1이 있다. 또 ‘○독각시실긔’라는 주2의 이가원(李家源) 소장본이 있는데, ‘노처녀곽독각씨전(老處女郭禿閣氏傳)’이라고도 한다. 활자본은 1923년 영창서관(永昌書館)에서 간행된 『노처녀(老處女)의 비밀』이라는 주3에 ‘꼭독각씨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이 책은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도남문고(陶南文庫)에 있다.

내용

숙종 때에 전라도 무주 땅에 '꼭두각시'라는 처녀가 살았다. 꼭두각시는 어려서 부모를 잃고 집이 가난하며 얼굴이 못생겨서 늦도록 시집을 못 가고 애를 태웠다. 어느날 골 생원 집에서 구혼이 들어와 정혼을 하고는 기뻐하며 앞날에 대한 희망으로 부풀었다.

그러나 주4를 받은 지 3년이 지나도록 신랑인 골 서방이 장가를 오지 않자, 이웃 매파가 찾아와서 아내와 사별한 윤 좌수의 후처로 가기를 권한다. 이에 꼭두각시는 주5의 도리를 내세우며 그 권유를 물리치고는 윤 좌수의 주6이 두려워 골 생원 집을 찾아 나선다.

골 생원 집을 찾아가 보니 사는 형편이 말이 아니었고, 신랑도 몸이 온전치 않았다. 그러나 꼭두각시가 혼례를 치르고 마땅한 도리를 지키자, 그 예의범절에 동네 사람들이 감동한다. 그 뒤 우연히 뒷동산에 올라갔다가 금덩이를 얻어, 그 금을 마을 김 부자의 재산과 바꾸어 행복하게 살게 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지체가 낮고 못생긴 여자 주인공이 행복을 이루기까지의 과정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의 서사는 소설뿐 아니라 판소리 주7, 잡가, 민요, 설화, 민속 인형극 등의 다양한 민속 예술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이 작품에서는 민요와 설화의 여러 설정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꼭두각시라는 개성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인물을 창조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 대단한 인기를 모았던 가사 「 노처녀가」 속 노처녀의 여러 모습이 꼭두각시의 형상화에 영향을 주었으나, 꼭두각시는 「노처녀가」에 등장하는 노처녀의 여러 부정적 모습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몰락 양반인 골 서방을 양반답지 않은 인물로 형상화하여 양반을 풍자하는 반면, 평민 출신인 꼭두각시를 양반답게 처신하는 것으로 그려 평민층의 신분 상승 의욕을 합리화시키고 있다. 중세 질서를 비판하면서 동시에 수용하는 양면적 작가 의식이 나타난다. 이 작품은 자아의 소망은 어떠한 장애라도 극복하고 실현될 수 있다는 신념을 민담적 세계관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한편, 숭고한 대상을 주8으로 풍자하고 비장한 체험을 주9으로 드러내면서 판소리 투의 표현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작품은 중세적 질서가 해체되는 당대의 삶의 양상을 반영하면서 평민층의 현실주의적 의식의 성장을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원전

이가원 역주, 「꼭독각씨 실기」(『국어국문학』 14, 국어국문학회, 1955)

논문

고순희, 「<노처녀가 Ⅰ> 연구」(『韓國詩歌硏究』 14, 한국시가학회, 2003)
김국희, 「‘꼭두각시전'의 혼성텍스트적 성격과 주제의식」(『韓國文學論叢』 52, 한국문학회, 2009)
최원식, 「가사의 소설화 경향과 봉건주의의 해체」(『창작과 비평』, 창작과 비평사, 1977 겨울호)
하성래, 「해학 속에 숨은 서민의 바램」(『문학사상』 90, 문학사상사, 1980.5.)
주석
주1

현재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소장.

주2

책, 시문 따위의 표제나 제목의 이름. 우리말샘

주3

국문 소설류를 신식 활판 인쇄기로 찍어 발행한 것을 이르는 말. 표지가 아이들 놀이의 딱지처럼 울긋불긋하게 인쇄되어 있는 데서 유래하였다. 우리말샘

주4

전통 혼례에서, 혼례를 치르기 전에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보내는 채단. 우리말샘

주5

정절을 굳게 지키어, 두 남편을 섬기지 아니함. 우리말샘

주6

가난하여 혼기를 놓친 총각이 과부를 밤에 몰래 보에 싸서 데려와 부인으로 삼던 일. 우리말샘

주7

판소리에서, 창을 하는 중간중간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엮어 나가는 사설. 우리말샘

주8

익살을 부리는 가운데 어떤 교훈을 주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9

익살스럽고도 품위가 있는 말이나 행동이 있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