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품

목차
촌락
개념
하루를 단위로 임금을 받고 제공하는 노동력.
목차
정의
하루를 단위로 임금을 받고 제공하는 노동력.
내용

일고(日雇)·일용(日傭)이라고도 하며, 지방에 따라서는 놉도 여기에 포함된다. 날품은 오늘날 도시사회의 노동현장에서도 이용되고는 있지만, 원래 촌락사회, 특히 농촌사회의 농업노동력 동원형태의 하나였다.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농업생산양식은 소농적인 생산양식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따라서 그 노동력 동원형태도 가족노동의 형태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생산기술의 미발달과 집약적인 노동력 투입의 필요로 공동노동형태가 관행되었다.

전통사회의 농촌에서 대표적인 공동노동형태로 두레와 품앗이를 들 수 있다. 화폐경제의 발달로 토지소유의 차이에서 오는 공동노동에 대한 모순의 심화는 농업노동력 동원형태를 점차 공동농업노동력 동원형태에서 철저한 임금제 노동의 계약관계로 변화시키게 되었다. 날품은 이 결과 나타난 노동력 동원형태의 하나로, 두레나 품앗이보다 근대적인 노동력 동원형태라 할 수 있다.

날품은 머슴처럼 장기간의 고용노동이 필요없고 일시적으로 집약적인 노동력이 요구되는 일이 있을 때, 하루를 단위로 하여 일할 것을 고용주와 피고용자가 계약으로 이루어진다. 농촌의 경우, 날품을 제공하는 사람은 자가의 경작지에 비해 노동력이 남는 영세농이나 소농가 또는 경작지가 없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이들의 품삯은 현물로 지급되기도 하고, 품삯의 지급시기가 일정하지 않았다. 또 품삯이 계약보다는 관습에 의하여 결정되기도 한다. 그래서 농촌의 날품은 현대적인 임금노동이라기보다는 전근대적인 요소를 다분히 내포하고 있다.

그런데 오늘날 도시 근교의 특수작물 재배지역이나 도시의 건축현장 등에는 농한기를 맞은 농촌의 영세농민이나 도시의 유휴노동력이 날품을 팔아 수입을 올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역의 날품은 철저한 임금노동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날품은 산업화 이후 급속히 성장한 화폐경제와 더불어 정착된 임금노동의 한 형태로, 우리 사회의 노동력 동원이 협동노동보다는 경제적인 계약관계로 변모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더 나아가서 우리 사회의 인간관계가 신분의식에 의한 인간관계나 전통적인 근린적 협동의 인간관계에서 경제력이 지배하는 인간관계로 제한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전통적 생활양식의 생태학적 측면』(권이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한국의 농업노동에 관한 일고」(정병휴, 『경제논집』 6-2, 1966)
「농업노동력 동원형태의 변화에 관한 연구」(성태규, 영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2)
집필자
이영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