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이웅 ()

남이웅 친필 일기
남이웅 친필 일기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적만(敵萬)
시북(市北)
시호
문정(文貞)
이칭
춘성군(春城君), 춘성부원군(春城府院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5년(선조 8)
사망 연도
1648년(인조 26)
본관
의령(宜寧)
주요 관직
좌의정
정의
조선 후기에,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적만(敵萬), 호는 시북(市北). 할아버지는 증좌찬성 남응운(南應雲)이고, 아버지는 주부 남위(南瑋), 어머니는 좌의정 한확(韓確)의 손녀 딸이다. 종숙 의흥부원군(宜興府院君) 남대우(南大佑)에게 입양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6년(선조 39)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왕자의 사부(師傅)가 되었고, 세마(洗馬)·위수(衛率)·통례(通禮)를 거쳐 1613년(광해군 5)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조좌랑·병조좌랑·정언·수찬·응교 등을 지냈다. 당시의 권신 이이첨(李爾瞻)이 보자고 청할 때 응하지 않아 미움을 사기도 했다.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오위장(五衛將)·황해도관향사(黃海道管餉使)·안악군수·의주부윤 등을 역임했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황주수성대장(黃州守城大將)으로 도원수 장만(張晩)을 도와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 3등에 춘성군(春城君)으로 봉해졌다. 1626년(인조 4) 형조참판에 부총관을 겸했다.

1632년 인목대비의 상사(喪事)에 수릉관(守陵官)이 되었다. 나이 60이 되었는데도 능을 지키는 예법에 조금도 어김이 없으므로 주위 사람이 모두 탄복했다고 한다.

그 뒤 호조참판·형조판서 겸 지의금부도총관을 역임했다. 1635년 강화도유수를 역임했다. 1636년 병자호란으로 남한산성까지 왕을 호종했고, 그 공으로 좌찬성에 올랐다.

이듬해 소현세자가 볼모로 심양(瀋陽)에 잡혀갈 때 우빈객으로 세자를 극진히 호위했으며, 돌아온 뒤 춘성부원군에 봉해졌다.

1638년 대사헌이 되어 법을 엄하게 집행했으며, 미신을 없애려고 음사(淫祠)를 파괴하고 무당을 학대했다. 1646년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이 되어 민회빈 강씨(愍懷嬪姜氏: 昭顯世子의 嬪)의 사사(賜死)를 반대하고 사직했다. 그 뒤 1647년 좌의정이 되었다. 본래 세업(世業)이 풍족해 부자라고 일컬었지만, 법제를 준수하며 자손들을 엄하게 단속해 사치를 억제했다고 한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성호문집(星湖文集)』
『용주유고(龍洲遺稿)』
『순암문집(順菴文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남씨추원지(南氏追遠誌)』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공원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