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

다도해 / 남해
다도해 / 남해
자연지리
지명
우리 나라 남쪽에 있는 바다.
내용 요약

남해는 우리 나라 남쪽에 있는 바다이다. 제주도를 비롯하여 섬이 많으며 해안지형이 매우 복잡하다. 제주도·거제도·남해도·가덕도·한산도·완도·돌산도·거문도·나로도 등이 있으며, 해남반도·고흥반도·여수반도·통영반도 등이 있다. 동해에 비하면 수심이 얕아서 거의 대륙붕으로 되어 있다. 연중 난류가 흘러 양식업 등 수산업이 매우 발달하였다. 한려수도를 비롯한 해상공원 및 임해공업지대로 해안의 이용 가치가 크다. 역사적으로는 임진왜란 때 충무공 이순신이 복잡한 지형과 조류를 잘 이용하여 한산도를 비롯한 여러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둔 곳이다.

정의
우리 나라 남쪽에 있는 바다.
개설

제주도를 비롯하여 섬이 많아 이른바 다도해를 이루며, 해안지형이 매우 복잡하다. 남해는 태백산맥소백산맥에서 갈라져 나온 산맥들이 해안에 이르러 지반이 침수된다. 이로 인해 크고 작은 반도 및 섬들이 많고 해안선의 출입도 심하다.

자연환경

남해안의 구역은 넓게는 일본 대마도(對馬島)와 제주도 사이의 한반도 남부를 뜻하나, 자세히는 부산 부두에서 전라남도의 남해갑(南海岬)까지를 말한다. 직선 거리는 255㎞, 지절률(肢節率)은 8.81, 해안선의 길이는 섬을 제외하고 2,251㎞, 섬만으로는 4,654㎞에 이른다. 주요 섬으로는 제주도 · 거제도 · 남해도 · 가덕도 · 욕지도 · 사량도 · 한산도 · 완도 · 돌산도 · 거문도 · 나로도 · 소록도 · 노화도 · 금오도 등이 있다. 주요 반도로는 해남반도 · 고흥반도 · 여수반도 · 통영반도 등이 있고, 만은 득량만 · 순천만 · 광량만 · 진해만 등이 있다.

해안선이 복잡한 데다가 연근해에는 섬이 많고 주1의 작용이 약하여 대규모의 사빈(砂濱) 발달에는 부적당하다. 제주도의 성산포에는 주2의 발달도 볼 수 있으며, 암석해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3는 거제도의 해금강에 잘 나타나 남해안의 관광지가 되고 있다. 남해안의 침수량은 동쪽보다도 서쪽이 크며 전라남도에 이르면 가장 커진다. 따라서 섬의 수는 전국의 55.7%를 전라남도가 차지하고 있으며, 거제도 · 남해도 · 진도 등 많은 섬들의 방향이 거의 비슷하다.

동해에 비하면 수심이 얕아서 황해와 더불어 거의 대륙붕으로 되어 있으며, 최근 양식업이 활발해져서 그 이용도가 높다. 남해의 평균 수심은 100m, 최고 깊이는 210m이고, 빙기(氷期)에는 해면이 현재보다도 100m 이상 낮았기 때문에 이곳은 육지의 연속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대륙의 지절(肢節)이 침강하여 대한식 리아스(大韓式 Lias)를 형성하고 있다. 해류는 연중 난류가 흘러 양식업 등 수산업이 매우 발달하였고, 한려수도를 비롯한 해상공원 및 임해공업지대로 해안의 이용 가치가 크다. 남해는 황해와 함께 대륙붕으로 되어 있어, 빙기의 낮은 해면이 상승하면서 북서 방향으로 점차 침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 사건

김상호(金相昊)는 근재형 화경농업(根栽型火耕農業)이 한반도에 전래된 시기가 서기 전 5,000년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 시기는 해면이 점차 상승하던 때로써 이 농업문화가 남해를 거쳐 전래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에는 근재형 화경농업의 특색에 대비되는 생활양식이 남아 있음이 주목된다. 해면이 현재의 수준으로까지 높아진 뒤에도, 남해에는 섬이 많고 파랑의 작용이 약하여 해상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삼국시대에 이미 백제와 일본은 남해를 통하여 교류가 활발하였다. 통일신라 때에 장보고(張保皐)는 남해의 완도에 청해진(淸海鎭)을 설치하여 해적들을 토벌하고 당나라 및 일본과 활발한 무역을 하였다. 또한 남해에는 왜구들이 자주 출몰하였다. 조선 전기의 군사제도를 보면 경상도와 전라도에는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수영(水營)을 각각 둘씩 설치하고 있다. 이순신(李舜臣)은 본래 전라도좌수사로서, 임진왜란 때에 한산도를 비롯한 여러 전투에서 승리하고, 정유재란 때에는 명량(鳴梁)에서 일본수군을 대파하였다. 그는 드나듦이 복잡한 지형과 조류를 잘 이용하여 적을 공격하였던 것이다.

『후한서』 「동이전」 ‘한조(韓條)‘에 마한(馬韓) 사람들 가운데 문신(文身)을 한 자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은 왜(倭)의 수인(水人)과 같이 문신을 함으로써 대어(大魚)와 주4으로부터 몸을 보호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그 당시 남해안에서 어로 활동과 해양 활동이 활발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종 및 어법

남해의 대표적인 어류는 멸치 · 갈치 · 고등어 · 전갱이 · 쥐치 등이고, 해삼 · 전복 · 파래 · 우뭇가사리 같은 패조류도 있다. 이와 같은 어류들을 어획하는 데 주로 사용한 주5로는 소대망류(小臺網類)와 걸망(榤網)이 있다. 조선 말기에 남해안 지역에서 특히 많이 사용하였던 주6의 종류는 그 형상에 따라 밧줄로 어구를 고정시킨 줄시(乼矢)와 목제로 된 지주로써 어망을 고정시킨 장시(杖矢)로 나눈다.

『경상도지리지』에는 경상도산 수산물이 기재되어 있는데, 거기에 기재된 빈도수 순으로 열거하면 어류는 주7 · 사어(沙魚) · 대구어(大口魚) · 청어(靑魚) · 광어(廣魚) · 쌍어(雙魚) · 홍어(洪魚) · 황어(黃魚) · 방어(方魚) · 도음어(都音魚) · 연어(年魚) 등이고, 패류는 주8 · 홍합(紅蛤) · 주9, 해조류는 곽(藿) · 주10 · 우모(牛毛) · 세모(細毛) · 주11 · 청각(靑角) · 조곽(早藿) 등이다. 기타 수산 생물로는 문어(文魚) · 자하(紫蝦) 등이 있다.

그 뒤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 · 『세종실록』 등에도 어패류 및 해조류의 종류가 다채롭게 기록되어 있다. 이 수산물들의 명칭은 수산 생물의 분류법이 발달되어 있지 않았던 탓에 명칭상의 혼동도 있고, 오늘날 어떤 생물을 가리키는 것인지 불분명한 것도 많다. 하지만 『한국어보』를 보면 대략 설명이 되어 있다.

1883년(고종 9) 「재조선국일본인민통상장정(在朝鮮國日本人民通商章程)」에 의하여 일본인들은 조선의 통어권을 획득한 뒤 조선 근해에서 많은 어로행위를 하였고, 동시에 불법적인 어로행위도 자행하였다. 1900년경부터 남해안에서는 청어와 대구를 호망(壺網) · 대부망(大敷網)이라는 일본식 정치망을 도입하여 어획하였다. 그리고 우리 어민들의 주요 어획 대상이던 멸치도 처음에는 권현망(權現網)을 주로 사용하여 어획하였으나, 점차 주12 · 주13 등을 사용하는 사람도 나타났다. 일본인이 경영한 30여 종의 어업 중에서 도미 어업과 멸치 어업이 가장 성행하였고, 그 밖에 조기 안강망어업(鮟鱇網漁業), 상어 주14, 삼치방어의 유자망어업(流刺網漁業), 고등어 낚시 어업, 주15 등도 성행하였다. 남해안은 해양생물의 서식에 적합하여 각종 어류가 풍부하다.

따라서 여러 가지 어구와 어법이 발달하고 있다. 남해의 주어종은 멸치와 갈치인데, 멸치는 진해 앞 바다를 중심으로 남해안 전역에서 어획되고 있다. 이 밖에 많이 잡히는 어종으로는 전갱이 · 고등어 · 적어(赤魚) · 상어 · 도미 · 방어 · 가자미 · 삼치 · 조기 · 광어 · 숭어 · 복어 · 문어 · 오징어 등이다. 이 어류들을 잡는 어법은 연안 수역에서는 정치망으로 잡고 먼바다에서는 주16 · 주17 · 건착망 등으로 어획한다. 기타 안강망 · 권현망 · 낚시 및 잠수기(潛水器) 등도 이용한다. 참대구는 겨울철에 진해만 근처에서 많이 어획되었으나 최근에는 거의 잡히지 않고 있으며, 고등어도 30년 전에 비하면 아주 적게 잡힌다.

남해안 일대에는 여러 가지의 패류와 해조류가 양식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양식을 가장 많이 하고 있으며, 여기서 양식된 굴은 구미 지역에서 수출도 한다. 굴 이외의 패류로는 백합 · 참조개 · 홍합 등이 있고, 해조류로는 완도 등지의 양식이 유명하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
『경상도지리지』
『자산어보(玆山魚譜)』
『한국수산지』 Ⅰ(농상공부수산국편, 1908)
『한국어업사』(박구병, 정음사, 1975)
「한국의 해안지형과 해안분류의 제문제」(권혁재, 『고려대학교교육논총』 3, 1975)
「한국농경문화의 생태학적연구」(김상호, 『서울대학교사회과학논문집』 4, 1979)
주석
주1

잔물결과 큰 물결. 우리말샘

주2

뭍과 잘록하게 이어진 모래섬. 우리말샘

주3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4

생활 조건이 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고기잡이에 쓰는 여러 가지 도구. 우리말샘

주6

한곳에 쳐 놓고 고기 떼가 지나가다가 걸리도록 한 그물. 우리말샘

주7

바다빙엇과의 민물고기. 몸의 길이는 20~30cm이고 모양이 가늘고 길며, 어두운 녹황색 바탕에 배 쪽으로 갈수록 연한 흰색이고 눈 위는 누런색, 위턱은 흰색, 아래턱은 녹색이다. 어릴 때에는 바다에서 지내고 이른 봄에 강을 거슬러 올라 급류에서 살다가 다시 하류로 가 알을 낳는다. 두만강을 제외한 한국의 각 하천과 제주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8

전복과의 하나. 껍데기의 길이는 10~20cm이고 타원형이며 갈색 또는 푸른빛을 띤 갈색이다. 껍데기 입구는 넓고 겉에 구멍이 줄지어 나 있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9

백합과의 조개. 몸의 길이는 25mm 정도이고 둥근 모양이며, 껍데기는 갈색이고 가장자리는 자색이다. 식용하며 개펄의 진흙에 사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0

홍조류 보라털과의 조류. 몸의 길이는 30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나 주름이 져 있다. 검은 자주색 또는 붉은 자주색을 띠고 바닷속 바위에 이끼처럼 붙어 자라는데 식용한다. 우리나라의 서남 연안에서 많이 나며 널리 양식한다. 우리말샘

주11

갈조류 미역과의 한해살이 바닷말. 잎은 넓고 편평하며, 날개 모양으로 벌어져 있고, 아랫부분은 기둥 모양의 자루로 되어 바위에 붙어 있다. 빛깔은 검은 갈색 또는 누런 갈색이고 길이는 1~2미터, 폭은 60cm 정도이다. 대체로 가을에서 겨울 동안 자라고 늦봄이나 첫여름에 홀씨로 번식한다. 예로부터 식용으로 널리 이용하였으며 요오드, 칼슘의 함유량이 많아 발육이 왕성한 어린이와 산부(産婦)의 영양에 매우 좋다. 간조선 이하의 바위에 떼 지어 붙어 사는데 한국의 남해안, 북해도, 중국 동부 해안 등에서 많이 난다. 우리말샘

주12

두릿그물의 하나. 물고기 떼를 둘러싸기만 하고 아래 깃을 조이지 않는 형태의 선망이다. 우리말샘

주13

고기잡이 그물의 하나. 띠 모양의 큰 그물로 고기를 둘러싸고 줄을 잡아당기면 두루주머니를 졸라맨 것처럼 되어 고기가 빠져 나가지 못하게 된다. 고등어, 다랑어, 정어리 따위를 잡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14

무명이나 나일론으로 만든 긴 끈의 곳곳에 낚시찌를 달아 일정한 수면에 띄우고 낚시찌와 낚시찌 사이에 낚싯바늘을 드리워 고기를 낚아 올리는 어업. 주로 남태평양 수역에서 학꽁치나 다랑어, 고등어 따위의 어업에 사용한다. 우리말샘

주15

고래잡이를 하는 직업. 우리말샘

주16

바다 밑바닥으로 끌고 다니면서 깊은 바닷속의 물고기를 잡는 그물. 우리말샘

주17

어망의 하나. 배와 함께 떠다니는 그물로서 물고기가 그물코에 걸리거나 그물에 감싸이게 하는 것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우관|이상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