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제 ()

목차
관련 정보
정읍 눌제 전경
정읍 눌제 전경
산업
유적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 있는 호남 삼호(三湖) 중 하나였던 저수지.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 있는 호남 삼호(三湖) 중 하나였던 저수지.
내용

익산의 황등제(黃登堤), 김제의 벽골제(碧骨堤)와 더불어 호남 삼호(三湖)의 하나였다. 1873년(고종 10)에 폐지되었으나 당시 제방의 길이는 1.5㎞, 둘레는 16㎞였다. 1916년 눌제의 위치에서 4㎞ 상류에 흥덕제(興德堤)를 축조하였는데, 흥덕제의 유역이 4,420㏊, 저수량이 7,791㎦, 관개면적이 6,113㏊인 것을 보면 폐쇄되기 전 눌제의 규모가 얼마나 방대하였는가를 짐작할 수 있다.

눌제의 기원은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정읍군사(井邑郡史)』에는 삼국시대로 추정하고 있으며, 『태종실록』에 의하면 동 · 중 · 서에 3개의 큰 수문이 있었다고 한다.

1419년(세종 1) 고부군수의 건의와 전라감사의 계청(啓請:왕에게 아뢰어 청하는 것)으로 민정(民丁) 1만 1,580인을 두 달 동안 동원하여 수축공사를 마쳤다. 그러나 이듬해 8월의 대홍수로 벽골제와 더불어 제방이 무너져 논 600여 결(結)이 유실, 매몰되어 관리에 부심하던 전라감사 장윤화(張允和)는 눌제를 폐쇄할 것을 건의한 바 있다.

『증보동국여지승람』에는 1530년(중종 25)눌제가 폐쇄되어 논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무렵 폐쇄되었다가 조선 중기에 다시 개축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1873년에 폐쇄한 것은 두 번째가 되며, 그 뒤 고부천에 큰 보(洑)를 막아 농사를 지었는데, 게가 많이 나왔기 때문에 이 보를 ‘게보[蟹洑]’라고 하였다. 이 보도 매년 홍수 피해가 심하여 1873년 당시의 군수 박규동(朴奎東)이 보를 없애 버리자 서부의 군민들이 그의 공적을 기리는 영세불망비를 제방 위에 세워 현재까지 전하고 있다. 눌제의 옛 제방은 현재 관청리와 신흥리를 잇는 지방도로로 이용되고 있다.

이 저수지는 우리나라 도작문화(稻作文化)의 발전과 더불어 호남지방의 식량생산이나 농업경제상 중요한 구실을 한 수리시설의 하나였다.

참고문헌

『정읍군사』(정읍군문화공보원, 1985)
『이조수리사연구』(이광린, 1961)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영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