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장 ()

목차
관련 정보
가족
의례·행사
토지 주인의 허락을 받지 않고 금장지(禁葬地) 등에 임의로 묘를 쓰는 행위.
내용 요약

늑장은 토지 주인의 허락을 받지 않고 금장지(禁葬地) 등에 임의로 묘를 쓰는 행위를 말한다. 선조나 부모 묘를 길지에 써서 조상의 덕이 당대뿐만 아니라 자손 대대로 번영하기를 바라는 풍수지리설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늑장은 이미 고려시대에 나타났으며, 조선 후기까지 사굴과 산송 등으로 사회 문제로 확대되었다. 조선시대 왕실에서도 늑장은 주요 관심 대상이었다.

키워드
목차
정의
토지 주인의 허락을 받지 않고 금장지(禁葬地) 등에 임의로 묘를 쓰는 행위.
내용

늑장의 유래는 분명하지 않다. 『고려사(高麗史)』 「형법지」에는 고려시대에 다른 사람의 경지에 몰래 무덤을 묻은 자는 매 50대를, 주4에 묻은 자는 매 60대를 형벌로 내렸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고려시대에 묘역을 빙자한 임야 점유가 성행했음을 보여 주는 대목이다.

조선시대 『세종실록(世宗實錄)』은 여러 차례에 걸쳐 주1를 차지하려는 분쟁과 풍수설에 대한 상소가 사헌부에서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숙종은 늑장 폐해를 방지하고자 풍수설에 따른 주2을 특명으로 엄금하였고, 영조는 산송 원인의 늑장과 주5 등을 엄중하게 금단하고 법대로 시행할 것을 명하였다. 『속대전(續大典)』 형전 청리조(聽理條)는 “사대부로서 늑장과 유장, 주6 따위는 엄금하되, 범법자는 탈입여가율(奪入閭家律)로 논죄하고, 알고도 금하지 않는 자는 주7 …”이라고 규정하였고, 사대부가 상인과 천인의 계장처를 강제로 빼앗은 늑장에 한해서 이장하도록 하였다.

늑장은 위법이고 부당한 행위로 투장, 주8과 다르게 정치 사회적 권력 소유자가 시도하였다. 남의 무덤을 파헤치고, 남의 집을 철거하고서 그곳에 묘를 쓰는 예가 대표적이다. 이외의 사례로는 문중의 세장지인 금장지 내 또는 선친 묘 인근 등에 장사를 지내는 것이다. 분쟁은 상호 원만하게 해결한 반면, 사굴 또는 산송 등으로 이어졌다.

사굴은 타인의 묘를 관(官)의 판결이나 주인의 허락 없이 발굴하는 행위이다. 이는 봉분 겉만 파헤치거나 관(棺)에 이르기까지 파헤치거나 관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사례로 나타났다. 후손은 사굴로 엄한 형별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감행하였다. 고려시대에는 경지 주인이 늑장을 이정(里正)에게 고한 후에 무덤을 옮겨야 했다. 이정에게 고하지 않고 묘를 옮긴 자는 매 30대 형벌을 받았다. 조선 후기에는 장형 100대에 도형 3년을 받은 사례도 있다. 사굴은 후손으로서 영역 침범의 물리적 해결과 효심을 드러내는 것으로 안타까움의 표출 방식이다.

충족하지 못한 쪽은 관에 산송을 제기해서 사태를 해결하려 했다. 조선 후기 산송은 향촌 사회에서 주된 관심사였으며 지방 수령들의 주요 업무였다. 영조 대에는 주3 중에 산송이 10의 8, 9나 되었다. 산송으로의 확대는 대를 이어가기도 했으며, 문중 간 대결이 되기도 하였다. 이 같은 사실은 주9과 그에 따른 묘소가 갖는 사상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단면이기도 하다. 그 밑바탕에는 정치력과 경제력 등을 갖춘 사회적인 영향력도 깔려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
『세종실록』
『속대전』

논문

전경목, 「조선후기 山訟의 한 사례(Ⅱ) - 勒葬과 私掘을 중심으로」(『국사관논총』 102, 국사편찬위원회, 2003.)
주석
주1

풍수지리에서, 후손에게 장차 좋은 일이 많이 생기게 된다는 묏자리나 집터. 우리말샘

주2

무덤을 다른 곳으로 옮김. 우리말샘

주3

서로 다투어 송사함. 우리말샘

주4

무덤 앞. 우리말샘

주5

예전에, 사람을 꾀어 다른 사람의 묘지나 산림(山林)에 묻던 일. 우리말샘

주6

남의 산이나 묏자리에 몰래 자기 집안의 묘를 쓰는 일. 우리말샘

주7

조선 시대에, 중죄인을 의금부로 잡아들여 조처하다. 우리말샘

주8

남몰래 장사를 지냄. 우리말샘

주9

지형이나 방위를 인간의 길흉화복과 연결시켜, 죽은 사람을 묻거나 집을 짓는 데 알맞은 장소를 구하는 이론.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