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식 ()

목차
관련 정보
다식판
다식판
식생활
물품
쌀 · 밤 · 콩 등의 곡물을 가루 내어 꿀 또는 조청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서 글자 · 기하문양 · 꽃문양 등이 양각으로 나타나게 만든 음식.
목차
정의
쌀 · 밤 · 콩 등의 곡물을 가루 내어 꿀 또는 조청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서 글자 · 기하문양 · 꽃문양 등이 양각으로 나타나게 만든 음식.
내용

의례상(儀禮床)에 놓는 필수 주1의 하나이다. 다식이 언제부터 있어 왔는지는 잘 알 수 없다. 『목은집(牧隱集)』팔관회(八關會)에 썼던 다식의 맛이 연하고 좋았다는 시가 있다. 그러므로 고려에서 연례용(宴禮用) 음식으로 썼음을 알 수 있다.

다식의 어의(語義)에 관하여 『성호사설』 거여밀이조(粔籹蜜餌條 : 유밀과에 관한 조항)에서는 “차는 본디 물에 달여 마셨다. 그런데 송대(宋代)에는 차 잎을 쪄서 일정한 무늬를 가진 틀에 박아 고압(高壓)으로 쪄내어 다병(茶餠)을 만들게 되었다. 이것을 말려두었다가 제사 때는 가루로 만들어 사발에 넣고 끓는 물을 부어서 대나무솔로 휘저어 마신다. 이것이 점다(點茶)이다. 그러던 것이 점차 차 대신에 곡물에 꿀을 섞어서 반죽하여 다병을 만들듯이 다식판에 박아 내어서 주2로 쓰게 되었다. 그래서 이름만 다식으로 남아 있고 실물은 바뀌었다.”라고 하였다.

다식은 중국의 단차형말차(團茶形末茶)를 모방하여 우리의 식품으로 만든 것이다. 다식은 조선시대 제례혼례의 큰상차림에서 뺄 수 없는 필수품이 되었다.

다식에는 쌀다식 · 송화다식 · 밤다식 · 검은깨다식 · 잡과다식 등이 있다. 쌀다식은 찹쌀을 쪄서 말린 다음 볶아서 고운 가루로 빻아 소금과 꿀 또는 조청을 넣어 만든 것이다. 송화다식은 봄철의 소나무에 피는 송화를 말려두었다가 꿀 또는 조청에 반죽하여 만든 것이다. 밤다식은 삶은 밤을 속껍질까지 벗겨 곱게 찧는다. 그 다음에 이것에 계피가루 · 유자청 · 꿀 또는 조청을 섞어 반죽하여 만든 것이다.

검은깨다식은 검은깨를 살짝 볶아서 가루로 만든다. 그 다음에 기름이 나오도록 오래 찧은 것을 꿀 또는 조청으로 반죽하여 만든 것이다. 잡과다식은 밤 가루에 대추와 곶감을 찧은 것을 함께 섞어 다식판에 박아 만든다. 이밖에 콩가루 · 녹말가루 · 용안육을 이용한 다식도 있다.

다식은 표면에 壽(수) · 福(복) · 康(강) · 寧(영) 또는 卍자문양 · 꽃문양 등이 음각된 다식판에 박아 만든다. 다식판은 길이 30∼60㎝, 너비 5∼6㎝, 두께 2∼3㎝의 크기로 상하 두 쪽으로 나누어진다. 다식을 박을 때에는 위판을 올려 괴고 구멍에 반죽을 넣어 눌러 찍으면 표면에 여러 모양이 새겨진 둥글납작한 다식이 만들어진다. 제상이나 잔치용 큰상을 괼 때에는 각색 다식으로 글자와 나선문양을 만들면서 괴어 담는다.

제례에는 검은깨다식 · 송화다식 · 쌀다식 등을 쓴다. 혼례의 큰상에 노란 송화다식, 파란 콩다식, 누런 쌀다식, 까만 검은깨다식, 분홍빛 녹말다식을 섞어 괴면 매우 화려한 모양이 된다.

참고문헌

『한국식품사연구』(윤서석, 신광출판사, 1974)
『고려이전한국식생활사연구』(이성우, 향문사, 1978)
주석
주1

한국의 전통 과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유밀과, 다식, 정과, 과편, 숙실과, 엿강정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제사에 드는 여러 가지 재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윤서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