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만촌동 유적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만촌동 출토 세형동검
대구 만촌동 출토 세형동검
선사문화
유적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세형동검 · 검부속구 등이 출토된 생활유적.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세형동검 · 검부속구 등이 출토된 생활유적.
개설

세형동검(細形銅劍)·동과(銅戈) 등이 일괄 출토되었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에서 금호강안의 동촌유원지 주변 주차장 정지작업중에 다량의 청동기가 발견된 유적으로, 금호강변의 낮은 구릉지대에 위치하고 있는데, 지표하 40∼50㎝에서 청동일괄유물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공사에 참여한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유물을 캐낸 부분에서 별다른 시설물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하며, 유적은 1966년 국립중앙박물관이 발굴 조사하였으나 유구는 파괴가 심해 정확한 성격은 알 수 없었으나 나무널무덤(木棺墓)일 가능성이 높다.

내용

만촌동에서 출토된 청동 유물로는 동꺾창(銅戈) 1점, 동검(銅劍) 3점과 검부속구(劍附屬具)가 있다. 동꺾창 1점은 전체길이 39.7㎝로 봉부(鋒部)의 길이가 과신(戈身)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과신의 최대 폭이 봉부에 있는 이른바 중광형동꺾창(中廣形銅戈)에 속한다. 한쪽 면에는 봉부의 중앙에 등날이 세워져 있으나, 그 반대측에는 등날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피홈[血溝]의 하단부에는 삼지무늬(三枝文)가 장식되어 있으며, 경부(莖部)에는 동심반원문(同心半圓文)이 있다. 몸체는 편평하고 날은 전혀 세워져 있지 않은 점으로 보아 실용적인 것이 아닌 의기(儀器)였던 것으로 보인다.

동검 1은 길이 30.8㎝로서 검신폭(劍身幅)이 좁고, 등날이 검신 기부(基部)까지 나있는 Ⅱ식이다. 동검 2는 동검 1과 동일형식인데, 검신 폭은 더욱 좁아지며, 등날 역시 기부까지 이른다. 전체길이는 30.1㎝이다. 동검 3은 봉부가 결실되었으며 현재길이 21.7㎝인데, 검 폭이 좁은 것으로 등날이 검신 기부(基部)에까지 나 있다. 검신에는 피홈[血溝]이 형성되어 있다.

동검의 부속구로서 현재 길이 4㎝의 검파두식(劍把頭飾)편이 출토되었는데, 반 이상이 결실되어 있다. 베개모양의 중앙 좌우에 돌출부가 있는 십자형이다. 그밖에 공반출토된 칼집 부속구로는 검심부속구, 검파반부금구(劍把盤部金具), 검초부금구(劍鞘部金具) 등 모두 5점이 있다.

이러한 만촌동의 유물 중, 중광형동꺾창은 비실용적인 의기로서 경남 김해에서도 발견된 바 있는데, 이는 일본의 특징적인 청동기라 일본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경상도지역에서는 동꺾창은 물론 동투겁창과 동검도 의기화된 형식을 갖춘 것이 많고 이러한 의기적인 청동기를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청동기가 의기화되는 과정 중 발생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어, 일본이 아니라 국내에서 제작되기 시작하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만촌동 유적은 동꺾창, 동검의 형식에서 볼 때 서기 전후의 시기인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대구만촌동출토의 동검·동과」(김재원·윤무병, 『진단학보』29·30합병호, 1966)
「大邱晩村洞遺蹟出土の靑銅器」(尹武炳, 『鏡山猛先生古稀記念古文化論攷』, 1980)
「慶尙北道大邱市晩村洞發見の靑銅器について」(西谷正, 『古代學硏究』51, 1968)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