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소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단체
동학의 교세 확장을 위해 설치된 교단 조직이며 중앙 사무 조직.
목차
정의
동학의 교세 확장을 위해 설치된 교단 조직이며 중앙 사무 조직.
개설

처음 1893년(고종 30)의 교조신원운동 이전에는 교단 조직으로 출발하였으나,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기에는 교단 사무뿐만 아니라 집강소의 일반 사무를 총괄한 사무 기관의 성격까지 지니게 되었다.

내용

원래 동학의 교단 조직은 동학교도의 무리를 포(布, 包)라 하였고, 모이는 곳을 접(接)이라고 하였다. 여기의 우두머리를 대접주(大接主)라고 불렀고, 아래로 수접주(首接主) · 접주(接主)를 두었다.

그리고 서로 존칭해 접장(接長)이라 불렀고 상대방에게 자기를 하접(下接)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처음에는 동학의 교세 범위에 속하는 전국 각 고을[邑]에는 일종의 교구제(敎區制)인 접을 설치하였는데 이를 대도소(大都所)라고 하였다.

처음의 대도소는 접의 다른 호칭에 지나지 않았으며, 여기에는 한 사람의 접주를 임명해 교단의 행정을 맡기고 이를 집강(執綱)이라고 하였다. 여기의 접주는 교화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집강은 교정적(敎政的)인 성격의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대도소 아래 도소(都所)를 두었는데 대의소(大義所)라고도 불렀으며, 도로에 있어서는 행군의소(行軍義所)라고 하였다.

그러나 동학 농민군에 의한 집강소 설치기에는 대도소가 접의 상급 기관으로서 변질된 것 같다. 동학 농민군의 전주성 점거 후 전주화약(全州和約)에 의해 설치된 집강소는 지방행정을 장악해 이를 총지휘하는 본산 구실을 하였다.

전봉준(全琫準)이 호남의 53읍(邑)의 관아에 각각 집강소를 설치하였을 당시 전주에 대도소를 설치함에 따라 전라 우도가 그의 세력권 안에 들어간 것은 대도소가 집강소를 지휘 아래에 두었다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전라 좌도를 그 세력권 아래 둔 김개남(金開南)의 경우도 남원에 대도소를 설치함으로써 호남 지방은 사실상 두 개의 세력권으로 양분되었으리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매천야록(梅泉野錄)』
『오하기문(梧下記聞)』(황현)
『한국근대(韓國近代)의 민족의식연구(民族意識硏究)』(김창수, 동화출판공사, 1987)
『동학(東學)과 농민봉기(農民蜂起)』(한우근, 일조각, 1985)
『동학란기록(東學亂記錄)』 상(국사편찬위원회, 1974)
『동학(東學)과 동학란(東學亂)』(김상기, 대성문화사, 1947)
『시천교역사(侍天敎歷史)』(최류현, 시천교총부, 1920)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시기 농민집강소(農民執綱所)의 활동(活動)」(신용하, 『한국문화(韓國文化)』 6, 1985)
「전주화약(全州和約)과 집강소(執綱所)」(김의환, 『한국사상(韓國思想)』 12, 1974)
「동학군(東學軍)의 폐정개혁안검토(弊政改革案檢討)」(한우근, 『역사학보(歷史學報)』 23, 1964)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에 있어서 전주화약(全州和約)과 폐정개혁안연구(弊政改革案硏究)」(박종근, 『역사평론(歷史評論)』 140, 1962)
집필자
김창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