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계 ()

목차
자연지리
개념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서 쥐라기에 걸쳐 형성된 육성층(陸成層).
목차
정의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서 쥐라기에 걸쳐 형성된 육성층(陸成層).
내용

주로 역암·사암·셰일로 되어 있고 무연탄층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으며 습곡 작용과 역단층 작용을 받아 교란이 심한 지층이다. 평안계(平安系)와 그 이전의 지층을 경사부정합(傾斜不整合)으로 덮으며 쥐라기말 내지 백악기의 경상계(慶尙系)에 의하여 경사부정합으로 덮인다.

평양 북서부에 있는 대동군(大同郡)에 분포된 지층을 일본인 학자가 대동층(大同層)이라 명명하였다. 그 뒤 이 대동층은 하부·중부·상부로 세분되어 대동계(大同系)라고 불리게 되었으나 하부와 중부를 합하여 다시 대동층이라 명명하고, 상부는 암질과 지질 구조가 전혀 다르므로 대보층(大寶層)으로 명명하게 되었다.

그 뒤 대동층은 더 구체화되어 하부대동층을 선연통(嬋娟統), 중부대동층을 유경통(柳京統 : 유경은 평양의 옛 이름)으로, 그리고 상부대동층인 대보층은 대보통(大寶統)으로 명명되었다.

1936년 선연통과 유경통을 합하여 다시 대동계(상부대동층 제외)로, 대보통은 대보계(大寶系 : 慶尙系에 대비됨.)로 각각 개명되었으며, 최근에 대동계는 대동계(大同系)라 불린다. 트라이아스기 내지 쥐라기로 시대가 고정된 대동누층군은 평양 부근 외 북한에 다른 분포지가 거의 없고 남한에는 비교적 그 분포가 넓다.

정선에서 단양 사이에 2, 3열로 좁은 대상의 분포를 보여주는 반송층군(盤松層群), 경상북도의 문경탄전과 상주시 서부의 단산층군(檀山層群)이 대동계에 대비되며, 충청남도 보령시와 부여군 서부의 남포층군(藍浦層群), 경기도 김포군 북부의 통진통(通津統), 동두천 북쪽에 동북동∼서남서로 뻗은 함석탄의 중생대층이 대동계에 속한다.

선연통(일명 發峯統)과 유경통에는 식물 화석이 많이 들어 있으며 평양 시내의 유경통에서는 화석림(化石林)이 발견되었다. 최근의 식물 화석 연구에 의하면 남포층군은 쥐라기보다도 트라이아스기의 지층일 가능성이 크다.

다른 지역의 식물 화석도 다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유경통의 식물 화석만은 쥐라기 중엽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대동식물군의 시대』(김봉균, 1984)
『지질학개론』(정창희, 박영사, 1986)
「朝鮮の石炭」(川崎繁太郞 外, 『朝鮮鑛床調査要報』 1-1, 1912)
「朝鮮鑛床槪說」(川崎繁太郞, 『朝鮮鑛業會誌』 9, 1926)
「平壤炭田西緣部의 地質と構造」(金野円藏, 『地質學雜誌』 35, 1928)
「朝鮮の自然地理-特殊地形-」(中村新太郞, 『日本地理大系』-朝鮮篇-, 1930)
「平壤付近の地質」(前島俊郞, 『地球』 24-2, 1935)
「平壤炭田の地質構造について」(中村新太郞, 『地質學雜誌』 43, 1936)
집필자
정창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