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군 ()

장평산과 소고방산
장평산과 소고방산
인문지리
지명
평안남도 서남부에 있는 군.
정의
평안남도 서남부에 있는 군.
개관

동쪽은 강동군, 서쪽은 강서군, 남쪽은 중화군, 북쪽은 순천군과 평원군에 접하고 있으며 평양시를 사방으로 둘러싸고 있다.

동경 125°29′∼125°57′, 북위 39°17′∼39°52′에 위치하며, 면적 949.39㎢, 인구 16만 3387명(1944년 현재)이다. 14개 면 223개 이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평양시 인흥리이다.

자연환경

북쪽 평원군과의 경계에 있는 청룡산(靑龍山, 546m)과 동북쪽 강동군과의 경계를 이루는 국사봉(國士峰, 446m), 군의 동부 중심에 있는 청운산(靑雲山, 364m)과 대성산(大聖山, 274m) 등이 이어져 동북지방은 산지를 형성한다.

서쪽에 대보산(大寶山, 372m) · 용악산(龍嶽山, 292m)이 있으며, 그 밖에 높이 100m 정도의 낮은 산이 여럿 있으나 대부분의 지역은 낮은 연안저지대를 이루며, 대동강 유역의 낙랑평야지대에 속한다.

대동강은 중앙부를 동서로 가로질러 흐르는데, 그 지류인 보통강(普通江)은 군의 중앙을 북쪽에서부터 관통해 남류하며, 곤양강(崑陽江)은 남관면과 중화군의 경계를 따라 서류하고, 무진강(戊辰江)은 대보면 동북변과 용산면의 경계를 이루면서 동남류해 대동강과 합류한다.

본 · 지류의 유역평야는 비교적 넓고 토지가 비옥하며, 그 위에 관개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어 군의 주요 생산지대와 거주지대가 된다.

한반도의 북부에 위치하고, 또 내륙지방인 만큼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이다. 연평균기온은 9.4℃이며, 1월 평균기온 -8.1℃, 8월 평균기온 24.4℃으로 연교차가 32.5℃에 달한다. 연강수량은 941㎜로 우리 나라의 과우지역(寡雨地域)에 속한다.

역사

[고 대]

구석기시대의 유물 · 유적은 발굴된 적이 없으나 정백리 · 이암리 · 청호리 등지에서 빗살무늬토기 유적이 발견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미 신석기시대에는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믿어진다.

고조선의 영토였으나 한때 한나라 군현으로 편입된 일이 있고, 313년(미천왕 14) 고구려에 영속되었다. 427년(장수왕 15)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할 때 왕궁을 임원면의 안학궁(安鶴宮)으로 정했는데, 부근의 대성산성(大聖山城)은 비상시를 대비한 산성이었다.

586년(평원왕 28) 왕궁을 안학궁에서 장안성으로 다시 옮겼다. 668년(보장왕 27) 고구려 멸망시 이 곳도 평양과 함께 통일신라의 영역이 되었으나 거의 방치되었다.

[고 려]

태조의 북진정책에 따라 서경이 건설되면서 이 곳이 다시 개척되었으며, 1018년(현종 9)평양부에 속하였다. 예종 때 풍수지리설에 입각해 왕업을 세우고자 청암리에 용언궁(龍堰宮)을 지었다.

1127년(인종 5) 묘청(妙淸) · 정지상(鄭知常) 등이 남궁리가 대화지세(大花之勢)의 명당이므로 이 곳에 궁궐을 지어 옮기면 천하를 아우르고 금(金)나라가 항복하며 36국이 섬길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리하여 이 곳에 대화궁(大花宮)을 짓고 서경으로의 천도운동이 벌어졌다.

그러나 이 운동이 김부식(金富軾) 등 개경 귀족의 반발로 실패로 돌아가자 1135년 이른바 묘청의 난이 일어났으나 실패하였다. 1270년(원종 11)원나라의 동녕부(東寧府)에 소속되었다가 1290년(충렬왕 16) 다시 고려에 귀속되었다.

[조 선]

조선시대에도 평양부에 속했고 뒤에 인흥부(仁興部) · 예안부(禮安部) · 의흥부(義興部) · 지안부(智安部) 등으로 나누어졌다.

[근 대]

평양부에서 대동군으로 분리된 것은 1914년이며, 이 때 행정구역은 17개 면 285개 이로 되어 있었으나 평양부의 확장에 따라 점차 축소되었다. 1929년 3개 면이 평양부에 이속됨에 따라 14개 면 223개 이로 줄어들어 1945년까지 이르렀으며, 군청은 평양시 인흥리에 있었다.

1919년 10월에 독립운동자금을 모으고 친일파를 응징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민회(韓民會)가 조직되었는데, 1920년 10월 일본경찰에 적발되어 회원들이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유물 · 유적

정백리와 임원면 청호리에서 신석기시대의 주거지인 빗살무늬토기 유적지가 발굴되었으며, 이암리에서는 돌칼 · 돌도끼 · 돌화살촉 · 반달모양돌칼 등의 석기가 많이 출토되었다.

대동강변 일대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고분은 낙랑시대의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 곳에서 금기 · 은기 · 동기 · 토기 · 칠기 · 봉니(封泥) · 와전(瓦塼) · 장신구 등의 일상생활기구가 많이 나와 그 시대의 문화상을 알려 준다.

이 밖에 문천리에서 출토된 완전한 모습의 다뉴세문경 · 세형동검 · 동기 등과 용산면 상리의 목곽분에서 출토된 여러 동검과 철검 · 철도끼 등은 현재 평양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토성리 · 조왕리의 토성터는 종래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낙랑토성터로서 낙랑군의 치소로 알려졌으나, 근래 이 토성이 한(漢)나라 문화를 수용한 우리 조상이 쌓았으며, 이 곳에서 낙랑문화의 전성을 보게 되었다는 이의가 제기되어 주목을 끌고 있다.

시족면의 대성산성은 근처에 있던 안학궁과 더불어 장수왕의 평양 천도시 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성산 기슭에는 고구려 벽화무덤인 개마총(鎧馬塚)이 있는데, 사신도(四神圖) · 인물행렬도와 개마지상도(鎧馬之像圖) 등의 벽화가 유명하다.

부산면 남궁리에 있던 대화궁은 고려 인종대에 풍수지리설을 이용해 서경천도운동을 추진했던 묘청일파에 의해 이른바 대화지세의 명당에 건립한 왕궁이다. 그러나 묘청의 난이 실패로 돌아감에 따라 궁은 폐허가 되고 터만 남아 있다. 이 밖에 고구려 평원왕이 평양으로부터 옮겨왔다는 장안성지와 적두산성지(赤頭山城址)가 있다.

용산면 구촌리에는 을지문덕(乙支文德)이 공부할 때 벼루를 씻었다는 세연지(洗硯池)가 있으며, 용산면 용악산 밑에는 용곡서원(龍谷書院)이 있다. 사찰로는 대성산의 광법사(廣法寺) · 두타사(頭陀寺)와 용악산의 법운암 등이 있으나 규모는 크지 않다.

교육 · 문화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는 용곡서원(龍谷書院)이 있었는데, 인조 때의 학자 선우 협(鮮于浹:‘관서부자’라 할 정도로 학명이 높음)을 제향하는 서원으로도 알려졌다.

이 군은 평양을 안고 있어서 일찍이 근대문물을 받아들였으며, 근대교육기관으로 1906년 추을면에 사립 신우학교(信友學校)가 최초로 세워졌다.

이어서 1908년 김제면에 이학필(李學必)의 양성학교(養成學校), 1919년 교회부설 합성학교(合成學校), 1931년 용산면에 창덕학교(彰德學校)와 공평면에 신흥학교(新興學校), 1935년 보령학교(普靈學校) 등의 사립학교가 계속 설립되었다.

한편, 공립학교로는 1914년 대동미림공립보통학교(大同美林公立普通學校), 1915년 김제공립보통학교(金祭公立普通學校), 1916년 부산공립보통학교(斧山公立普通學校), 1919년 형산공립보통학교(兄山公立普通學校) 등이 설립되었다.

광복 직후의 학교상황은 초등학교 17개교, 간이학교 5개교, 농민학교 1개교가 있었고, 종교기관은 불교사찰 2개, 천주교성당 1개, 개신교교회 50여 개 등이다.

산업 · 교통

군은 중화군과 함께 낙랑준평원의 중심부에 있으며, 평양시를 대상으로 한 근교농업이 발달하였다. 총경지면적은 약 636.5㎢로 이 중 논이 116.2㎢, 밭이 520.3㎢이며, 논과 밭의 비율은 18.3 : 81.7이다.

주요 농산물은 쌀 · 조 · 콩 · 밀 · 땅콩 · 사탕무[甛菜] 등이다. 특산물인 땅콩은 주로 대동강 유역의 사력지(砂礫地)에서 생산되는데, 전국에서 강동군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다.

일반농산물 이외에 야채 · 사과 등의 재배가 활발하며, 면화도 많이 재배하는데, 재래면인 ‘용강103호’ 품종을 재배해 용강군과 함께 전국 수위를 다툴 정도였다. 종양(種羊) · 종계 · 종우의 사육도 활발하다.

광공업은 삼신 · 감북 · 정백 · 대문 · 대보 등 탄광의 석탄과 시족면 마산동의 고령토가 유명하며, 그 밖에 시족 · 용악 · 부산 · 재경 등지에서 철 · 금 · 은 · 납 · 침철(針鐵) 등이 채굴된다.

한편, 상업활동은 모두가 5일정기장으로 장수원 · 대평 · 휴암장이 5일과 10일, 연암 · 하석화 · 전촌장이 4일과 9일, 원장 · 이목 · 가작장이 3일과 8일, 장현 · 광탄 · 무진장이 2일과 7일, 마람장이 1일과 6일에 각각 열린다.

군은 거의 평양시의 상권에 속하는 유통경제지역으로 각 지역의 산물이 집산하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대평 · 원장 · 광탄 · 휴암 · 무진장을 중심으로 농산물 · 야채 · 과일 등과 면화 · 비트 · 누에고치 등의 교역이 활발하다.

또한 우량한 식육품종임을 자랑하는 평양소의 산지여서 2개의 상설가축시장과 5일정기장으로 대평 · 원장 · 장현 · 전촌 · 장수원 우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도로는 평양시를 중심으로 방사선상으로 군내 각지에 통한다. 중화 · 평양 · 순안을 지나는 경의가도(京義街道)가 군의 중앙을 관통하고, 서포 · 장수원 · 강동 · 성천을 잇는 평원가도(平元街道)가 동으로 뻗어 있으며, 평양 · 순천 · 영원을 잇는 평녕가도가 동북방향으로 지나고, 평남가도는 남서방향으로 용산면을 지나 남포에 이른다. 그 밖에 평양을 기점으로 해 한천 · 상원 등지에 이르는 도로들이 있다.

철도는 경의선이 군을 남북으로 통과하는데, 역포 · 서포 · 간리에 역이 있다. 평원선은 서포역에서 경의선과 분기하며 용성 · 마람 · 배산점에 역이 있고, 평남선은 대보 · 율리면을 통과해 강서군 강선에 이른다. 대동강 · 강동 · 덕천을 잇는 서선중앙철도(西鮮中央鐵道)는 군의 동남부를 가로지른다.

수운(水運)으로 대동강과 곤양강을 따라 임원면과 대문선탄광의 석탄선 항행이 빈번하다. 석탄선의 적하지는 강서군 보산항(保山港)이다.

읍 · 면

[고평면 古平面]

군의 서부에 있는 면. 면적 55.70㎢, 인구 1만 2007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광탄리이다. 평양부의 순화면(順和面)과 평천면(平川面)으로 되어 있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해 고평면으로 개칭, 1938년 구정리와 평천리 · 내리 일부를 평양시로 이속시키고 문발리는 남관면으로 이속시키는 반면, 용산면의 시산리를 이 면에 편입시켰다.

면의 북단에 체봉(體峰, 92m)이 있고, 서쪽에는 대보면과의 경계에 대보산의 능선이 뻗어 있다. 남쪽변에는 대동강이 동남류하며, 동쪽변에는 보통강이 남류해 대동강과 합류하면서 평양시와의 경계를 이룬다. 무진강은 면 중심을 남북으로 관류해 대동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 면은 대동강 유역의 비옥한 평야지대에 속하므로 논농사가 활발해 쌀 생산이 많으며, 그 밖에 조 · 콩 · 밀 · 호밀 · 수수 · 고구마 등이 주요 농산물이다. 특용작물로는 재래목화 · 고추 · 사탕무 · 땅콩 · 깨 등을 재배하며, 양잠과 원종우의 사육으로 농가소득을 올린다.

평양∼진남포간의 철도가 면의 중심을 관통하며, 도로는 철도연변을 따라 평양과 진남포에 연결된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 간이학교 2개교가 있다.

광탄(廣灘) · 내(內) · 서송(西松) · 산(山) · 남(南) · 차(車) · 장광(長光) · 망일(望日) · 추자(楸子) · 하단(下端) · 중단(中端) · 상단(上端) · 금천(金泉) · 시산(匙山) · 일화(日和) · 신흥(新興) 등 16개 이가 있다.

[김제면 金祭面]

군의 서북부에 있는 면. 면적 66.3㎢, 인구 1만1430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원장리이다. 평양부의 김여대면(金呂垈面)과 서제산면(西祭山面)으로 되어 있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이를 병합하였다.

면의 동북쪽에는 제미산(祭媚山, 136m)이 있고 서북쪽에는 율산(栗山, 100m)이 있으며, 이 면에서 발원한 무진강은 용산면과 대보면의 경계를 이루면서 남류해 대동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주요 농산물은 쌀 · 조 · 콩 · 밀 · 호밀 · 수수 · 고구마 등이며, 특용작물로는 면화 · 고추 · 사탕수수 · 땅콩 등이 생산된다. 과일로는 사과 · 배 · 복숭아 · 포도 등이 유명하며, 양잠과 원종우의 생산 및 종돈 · 종계 · 종양의 사육이 활발하다.

도로망은 평양∼한천간의 2등도로가 면의 서부를 가로질러 통과하며, 그 밖에 남형제산면 · 대보면과 강서군 성대면을 잇는 지방도로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 간이학교 2개교가 있다.

원장(院場) · 상지(上池) · 산수(山水) · 가정(加井) · 노하(路下) · 은적(隱跡) · 맥산(麥山) · 정(井) · 대정(大井) · 황각(黃角) · 외제(外祭) · 부창(孚暢) · 목당(木堂) · 위전(偉磚) · 학림(鶴林) · 이인(里仁) 등 16개 이가 있다.

[남관면 南串面]

군의 남부 서단에 있는 면. 면적 50.25㎢, 인구 1만 7913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원암리이다. 평양부의 남제산면(南祭山面)과 돌관면(突串面)으로 되어 있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하고 남관면으로 개칭하였다. 1938년 평양시 두단리와 조왕리 일부, 고평면의 문발리 등 3개 이를 병합하였다.

면의 남부에서 중화군 당정면 · 양정면과 경계를 이루면서 흐르는 곤양강은 서류해 면의 북서변을 둘러싸고 흐르는 대동강과 합류하며, 대동강 연안에 저지대평야를 형성한다.

수리시설이 잘 되어 있어 쌀 생산이 많다. 그 밖에 조 · 콩 · 밀 · 호밀 · 수수 · 고구마 등의 밭작물을 재배하고, 특용작물로는 면화 · 고추 · 사탕무 · 땅콩 · 깨 등을 재배하며, 과일로는 사과 · 배 · 복숭아 · 포도 등이 유명하다.

축산이 활발하며, 특히 정기적으로 가축시장이 개설된다. 광업은 평안남북도를 통한 남부탄전에 해당되며, 우리 나라에서 가장 질이 좋은 무연탄이 산출되는데 대문산탄갱이 개발되어 있다.

도로는 평양에서 중화군으로 통하는 지방도가 군의 북서부를 지난다. 이 밖에 대동강의 수로를 이용하는 수운이 발달하였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가 있다.

원암(猿巖) · 남정(南井) · 유사(柳寺) · 석사(石寺) · 간(間) · 황룡(黃龍) · 보성(甫城) · 노남(魯南) · 월내(月內) · 장매(長梅) · 두단(斗團) · 조왕(助王) · 대송(大松) · 문발(文發) · 용포(龍浦) · 효남(孝南) · 평호(坪湖) · 이신(鯉新) · 각금(覺今) · 애포(艾浦) · 소이도(小耳島) · 대이도(大耳島) · 벽지도(碧只島) 등 23개 이가 있다.

[남형제산면 南兄弟山面]

군의 서북부에 있는 면. 면적 58.80㎢, 인구 1만 3071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내리이다. 이 면은 평양부의 일부였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했으며, 1938년 사당리를 재경리면으로 이속시키는 반면, 서천면의 이계리와 천남리 · 하당리 · 내리 일부를 병합하였다.

면의 중부인 학교리에는 형제산(兄弟山, 143m), 와우리에는 승령산(承嶺山, 132m)이 있으며 동쪽의 임원면과의 경계를 보통강이 관류해 대동강으로 들어간다.

주요 농산물은 쌀 · 조 · 콩 · 밀 · 호밀 · 수수 · 고구마 등이며, 보통강 유역의 평야지대는 관개사업이 잘 되어 있어 쌀 생산이 많다.

특용작물로는 면화 · 고추 · 사탕무 · 깨 · 땅콩 등을 재배하며, 과일은 사과 · 배 · 복숭아 · 포도 등이 유명하다. 양잠이 활발하며 원종우의 생산과 종돈 · 종양의 사육 등 축산업도 발달하였다. 도로망은 평양시를 중심으로 이 면을 관통해 김제면 · 재경리면 및 평원군 덕산면까지 연결되는 지방도로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가 있다.

내(內) · 시류(柴柳) · 당촌(棠村) · 사(寺) · 고천(古泉) · 이계(二溪) · 천남(川南) · 하당(下堂) · 남교(南橋) · 학교(鶴橋) · 노포(蘆浦) · 와우(臥牛) · 마흘(麻屹) · 승침(承沉) · 고산(孤山) · 적갈(摘葛) · 장산(長山) · 사포(沙浦) · 모로(慕魯) · 시정(柴井) · 작산(鵲山) 등 21개 이가 있다.

[대보면 大寶面]

군의 서부 중앙에 있는 면. 면적 67.82㎢, 인구 1만 509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대평외리이다. 평양부의 일부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된 것이다.

면의 동남쪽에 대보산이 있고 남단에 백양산(白揚山, 191m), 북쪽에 장산(長山, 120m)이 있다. 동북면에는 무진강이 동남류하면서 용산면과의 경계를 이루고 유역에 평야지대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수리시설이 잘 되어 있어 쌀 생산이 많다. 이 밖에 조 · 콩 · 밀 · 호밀 · 수수 · 고구마 등의 밭작물을 재배하고, 특용작물로는 면화 · 고추 · 사탕무 · 깨 등을 재배하며 과일은 사과 · 배 · 복숭아 · 포도 등이 생산된다. 양잠 이외에 원종우 축산업이 활발하고 종돈 · 종계 · 종양 등도 분양사육하며, 대평외리에 5일장으로 가축시장이 열린다.

광업으로는 남부탄전의 일원으로 대보탄갱이 개발되었다. 도로망은 평양∼남포간의 평남선이 면의 남단을 통과한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가 있다.

대평외(大平外) · 대평내(大平內) · 문현(文峴) · 반천(反川) · 용인(龍仁) · 안정(安靜) · 서기(西綺) · 용담(龍潭) · 팔청(八淸) 등 9개 이가 있다.

[부산면 斧山面]

군의 북부 중앙에 있는 면. 면적 85.92㎢, 인구 1만 845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남궁리이다. 평양부의 일부였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했고 동시에 시족면의 마람동을 병합했으며, 1938년 마산리를 용악면으로 이속시키는 반면, 임원면 용성리와 서천면 삼봉리를 병합하였다.

면의 중앙에 중봉(中峰, 126m), 서남단에 봉수산이 있으며, 북서부를 보통강이 관류해 비옥한 평야지대를 이룬다. 주요 농산물은 쌀 · 조 · 콩 · 밀 · 호밀 · 수수 · 고구마 등인데 평양시의 북쪽 평야로 수리시설이 잘 되어 있어 쌀을 많이 생산한다. 특용작물로는 면화 · 고추 · 사탕무 · 땅콩 · 깨 등이 있다. 광업으로는 삼봉광산에서 은 · 납이 생산된다.

평원선이 임원면의 서포역을 기점으로 해 면의 동부를 지나 순천으로 향하고, 경의선이 면의 서부를 지나 신의주로 향한다. 도로는 평양 · 순천 · 원산을 잇는 평원가도와 평의가도가 각각 철도연변을 따라 면을 동서로 관통한다.

유적으로는 1129년(인종 7)에 건립한 대화궁의 터가 있는데, 현재는 토루(土壘) 일부와 문지(門址) · 내외궁지(內外宮址)만 남아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와 중학교 1개교가 있다.

남궁(南宮) · 수산(壽山) · 화곡(花谷) · 용성(龍城) · 용궁(龍宮) · 삼봉(三峰) · 학산(鶴山) · 서양(西陽) · 신흥(新興) · 서산(西山) · 신미(新美) · 신안(新安) · 중(中) · 대양(大陽) · 하삼(下三) · 중이(中二) · 상일(上一) · 범사(凡沙) 등 18개 이가 있다.

[시족면 柴足面]

군의 동부에 있는 면. 면적 89.05㎢, 인구 1만 486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노산리이다. 평양부의 일부였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했고 동시에 마람동을 부산면으로 이속시켰다.

면의 북쪽 경계에 국사봉, 중앙에 청운산, 서쪽의 임원면과의 경계에 대성산이 있어 북부와 서부가 산지를 이룬다. 면의 남단으로 대동강이 지나고 청룡면과의 경계에 남강이 흐르며, 그 지류가 많아 평야를 형성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이며 조 · 콩 · 녹두 · 밀 · 수수 · 호밀 · 고구마 등을 생산한다. 특용작물로는 면화 · 고추 · 사탕무 · 깨 등을 재배하며, 광공업으로는 대성산의 철광, 마산리의 금광과 고령토, 송하동과 자송동의 지재(砥材)가 있다. 특산물로는 사과 · 배 · 복숭아 · 포도 등이 유명하며, 축산과 양잠은 농가경제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도로망은 평원가도가 평양을 기점으로 임원면을 거쳐 면의 중심을 동서로 관통해 강동군으로 진입한다. 유적으로 성산리대성산에 산성지와 장안성지가 남아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2개교가 있다.

노산(魯山) · 삼산(三山) · 토포(土浦) · 남경(南京) · 호남(湖南) · 연화(蓮花) · 철봉(鐵峰) · 성문(聖文) · 내(內) · 청운(靑雲) · 송학(松鶴) · 대천(大泉) · 송화(松花) · 지산(芝山) · 건지(乾芝) · 석삼(石三) · 삼석(三石) · 성산(聖山) 등 18개 이가 있다.

[용산면 龍山面]

군의 서부에 있는 면. 면적 69.61㎢, 인구 9,678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전촌리이다. 평양부의 일부였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했으며, 1938년 봉수 · 대치령 · 당상의 3개 이는 평양시로 이속시키고 시산리는 고평면으로 이속시켰다.

중앙에 용악산이 있으며, 동쪽 평양시와의 경계에는 보통강이 흘러 대동강으로 들어가고, 서남쪽 대보면 및 고평면과의 경계에는 무진강이 흘러 대동강으로 들어간다. 주요 농산물은 쌀 · 조 · 콩 · 밀 · 호밀 · 수수 · 고구마 등이다.

특용작물로는 면화 · 고추 · 사탕무 · 땅콩을 재배하고 양잠과 종우 · 종돈 · 종양의 사육도 활발하다. 광업으로는 조전리에서 형석이 생산된다.

철도가 면의 동남단을 지나며 국도선도 철도연변을 따라 통과하고, 평양에서 이 면을 거쳐 김제면을 지나 평원군의 한천에 연결되는 2등도로가 있다. 유적으로 구촌리에 세연지, 용악리에 용곡서원이 있다. 세연지는 을지문덕이 공부할 때 벼루를 씻던 곳이라 해 ‘을지소(乙支沼)’라고도 한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2개교가 있다.

전촌(全村) · 조전(趙全) · 하(下) · 상(上) · 초담(草潭) · 오류(五柳) · 용봉(龍峰) · 용악(龍岳) · 구촌(龜村) · 원로(元魯) · 하구로(下九老) · 소룡(小龍) · 상구로(上九老) 등 13개 이가 있다.

[용악면 龍岳面]

군의 동부 최북단에 있는 면. 면적 89.90㎢, 인구 6,717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동북리이다. 원래 평양부의 일부였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했으며, 1938년 부산면 마산리를 병합하였다.

북쪽 평원군 동암면과의 경계에 청룡산, 서쪽에 융골산(隆骨山, 402m)과 용악산이 잇달아 있어 북부에 산지를 형성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을 비롯해 콩 · 밀 · 호밀 · 수수 · 고구마 · 녹두 등이다.

특용작물은 면화 · 고추 · 사탕무 · 깨 등이며 과일은 사과 · 배 · 복숭아 · 포도 등이 유명하다. 누에치기 · 종우 · 종돈 · 종계 · 종양 등의 분양사육도 농가소득을 올리는 데 큰 몫을 한다. 광업으로는 상차리와 인근 순천군에 걸쳐 있는 북광광산에서 금 · 은이 생산된다.

교통은 평원선이 면의 남부를 관통해 순천군으로 진입하며, 평양∼순천간의 도로가 철도연변을 따라 면의 남부를 지난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가 있다.

동북(東北) · 마산(馬山) · 동남(東南) · 서(西) · 상(上) · 하(下) · 원(元) · 하차(下次) · 상차(上次) 등 9개 이가 있다.

[용연면 龍淵面]

군의 남부 중앙에 있는 면. 면적 60.08㎢, 인구 1만 3338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검포리이다. 평양부의 일부였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했으며, 1938년 평양시의 소신리와 삼정리를 병합하였다. 곤양강이 역포 부근에서 발원해 수리시설이 잘 되어 있는 평야지대를 형성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 · 조 · 콩 · 밀 · 호밀 · 수수 · 고구마 등이며, 특용작물로는 면화 · 고추 · 사탕무 · 깨 등을 재배하고 과일은 사과 · 배 · 복숭아 · 포도가 많이 생산된다.

또한 누에치기 · 원종우의 생산, 종양 · 종계 · 종돈의 사육으로 소득을 올린다. 광업으로는 남부탄전에 해당되며 우리 나라에서 가장 질이 좋은 무연탄을 생산하는 정백탄갱(貞柏炭坑)이 있다.

교통은 경의선이 면의 중앙을 지나가고 경의선 도로가 철도연변을 따라 관통하며, 그 밖에 평양과 중화를 잇는 지방도로가 있어 편리하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가 있다.

검포(檢浦) · 한정(寒井) · 천(泉) · 도제(道濟) · 파장(坡長) · 삼정(三井) · 소신(小新) · 가작(加鵲) · 산음(山陰) · 지양(池陽) · 냉정(冷井) · 소(巢) · 유(柳) · 당정(堂井) · 양지(陽池) · 향목(香木) 등 16개 이가 있다.

[율리면 栗里面]

군의 남동부에 있는 면. 면적 78.40㎢, 인구 9,221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무진리이다. 평양부의 일부였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했으며, 1938년 양합리와 삼합리를 청룡면에 이속시키는 반면, 평양시의 현교리와 원북리칠산리 등을 병합하였다.

면 전체에 진사강(辰沙江)과 그 지류가 흘러 비옥한 평야지대를 형성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 · 조 · 콩 · 밀 · 호밀 · 고구마 등이다. 특용작물로는 면화 · 고추 · 땅콩 · 사탕무 · 깨 등을 재배하고, 과일은 사과 · 배 · 복숭아 · 포도 등이 유명하다. 또한 양잠과 종우 · 종돈 · 종계 · 종양의 사육으로 농가소득을 올리고 있다.

도로는 평양을 기점으로 해 중화군의 상원에 연결되는 2등도로가 면의 동북부를 지나며, 그 밖에 지방도로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가 있다.

무진(戊辰) · 남당(藍塘) · 추빈(楸斌) · 답현(畓峴) · 유신(柳新) · 현교(絃橋) · 원북(院北) · 대중(大中) · 석정(石井) · 중(中) · 조촌(趙村) · 한간(鷳間) · 은송(隱松) 등 13개 이가 있다.

[임원면 林原面]

군의 중앙에 있는 면. 면적 74.31㎢, 인구 1만 5688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노성리이다. 평양부의 일부였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했으며, 1938년 청암 · 미산 · 용흥의 3개 이는 평양시로 편입하고 용성리는 부산면으로 편입하는 한편, 서천면의 동포리 · 상동리 · 서룡리를 병합하였다.

동쪽에는 대성산이 있고 남쪽에는 아미산(峨嵋山, 195m), 동남쪽에는 고방산(高坊山, 147m)이 있다. 동남쪽변 평양시와의 경계에는 대동강이 서쪽으로 흐르고, 서쪽 남형제산면과의 경계에는 보통강이 남류하며 유역에 평야지대를 형성하였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 · 조 · 콩 · 녹두 · 밀 등의 곡류가 있다. 특용작물로는 면화 · 고추 · 깨 · 사탕무 · 땅콩 등을 재배하고 과일은 사과 · 배 · 복숭아 · 포도 등이 유명하며, 양잠과 축산 등이 농가소득을 올리는 데 큰 몫을 한다.

광업으로는 평안남북도에 걸친 남부탄전의 원조종인 고망산탄광이 있는데, 삼신탄갱(三神炭坑)과 감북탄갱(坎北炭坑)이 대표적으로 개발되었다.

경의선이 서부를 관통하고 서포역에서 평원선이 시발한다. 도로는 경의선 · 평원선이 각각 면의 서부와 남부를 지나며, 평양∼순천간의 2등도로가 면의 중앙을 관통한다. 유적으로는 대성산 안의 장안성터 밑에 안학궁터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2개교가 있다.

노성(魯聖) · 북사(北四) · 남사(南四) · 고산(高山) · 양암(陽巖) · 청호(淸湖) · 상오(上五) · 청계(淸溪) · 상동(上東) · 서룡(西龍) · 동포(東浦) · 와산(臥山) · 운월(雲月) · 화성(和盛) · 기암(奇巖) · 송암(松巖) 등 16개 이가 있다.

[재경리면 在京里面]

군의 서북단에 있는 면. 면적 57.99㎢, 인구 1만 387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빙장리이다. 원래 평양부의 일부였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했으며, 1938년 남형제산면의 사당리를 병합하였다.

평원군 공덕면에서 발원한 보통강이 면의 동부를 흐르며, 그 지류가 서북단에서부터 동남류해 면을 관통하면서 흘러 본류와 합류한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 · 조 · 콩 · 밀 · 호밀 · 수수 · 고구마 등을 산출한다. 특용작물로는 면화 · 고추 · 사탕무 · 땅콩 등을 재배하며, 양잠 · 원종우 · 종돈 · 종계 · 종양의 사육이 활발하다. 교통은 경의선이 면의 동북단을 통과해 평원군의 순안으로 연결된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 간이학교 2개교가 있다.

빙장(氷庄) · 다원(茶院) · 망덕(望德) · 천(泉) · 천서(川西) · 신중(新中) · 천동(川東) · 간(間) · 현암(玄巖) · 오금(梧琴) · 사당(社堂) · 하석화(下石花) · 중석화(中石花) · 갈산(葛山) · 송림(松林) · 판교(板橋) 등 16개 이가 있다.

[청룡면 靑龍面]

군의 동남단에 있는 면. 인구 8,167명(1938년 현재). 면 소재지는 이현리이다. 평양부의 일부였던 것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동군을 신설하면서 분리, 편입했으며, 1938년 율리면의 양합리와 삼합리를 병합하였다.

북쪽에는 남강이 시족면과의 경계를 이루면서 서쪽으로 흘러 대동강으로 들어간다. 주요 농산물은 쌀 · 조 · 콩 · 밀 · 호밀 등이며, 특용작물로는 면화 · 고추 · 사탕무 · 깨 등을 재배하고 양잠과 종우 · 종돈 · 종계 · 종양의 사육이 활발하다. 과일로는 사과 · 배 · 복숭아 · 포도 등이 유명하다.

교통은 서선중앙철도선이 평양 대동강역을 기점으로 해 면의 북단을 관통해 강동군 승호읍으로 진입하고, 평양에서 중화군 상원에 연결되는 2등도로가 면의 중앙을 동서로 가로지르며, 평양∼승호, 중화∼승호를 잇는 지방도로가 각각 면의 북부와 남부를 지난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가 있다.

이현(梨峴) · 대원(大園) · 회(晦) · 산사(山寺) · 삼합(三合) · 추미(楸美) · 대수(大水) · 모운(茅雲) · 내도(萊島) · 기림(岐林) · 소오류(小五柳) · 양합(兩合) · 대오류(大五柳) · 양지(陽池) · 사도(泗島) · 지탄(芝灘) · 법수(法水) · 이목(梨木) · 이천(梨川) 등 19개 이가 있다.

광복 후 변천

1952년 12월 순안면의 3개 이와 양화면 · 재경리면 · 부산면 · 용악면 등을 분리해 순안군 소속으로 했고, 금전리 · 태평리 · 원호리 등을 평양시에 편입시키는 한편, 평원군 덕산면의 7개 이와 강서군의 일부지역을 편입시켰다.

1959년 2월 서포리 하당리를 평양시 서구역으로, 화성리 · 청제리를 평양시 대성구역으로 편입시켰고, 1959년 9월 대동읍 · 만경대리 등 1개 읍 5개 이를 평양시 만경대구역으로, 천남리를 평양시 서구역으로 편입시키는 한편, 강서군의 2개 이와 증산군의 6개 이를 흡수하였다.

1960년 금천리를 평양시 만경대구역으로 편입시키고, 1961년에는 원장리가 대동읍이 되고 대동읍은 시정노동자구가 되었다. 이와 같이 여러 차례의 개편을 거쳐 현재 평안남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평양시, 서쪽은 증산군, 남쪽은 남포시, 북쪽은 평원군과 접해 있다.

동경 125。27'∼125。40', 북위 38。48'∼39。14'에 위치하며, 면적 283㎢, 인구 7만 2400여 명(199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은 대동읍과 시정노동자구, 장산 · 원천 · 대보산 · 팔청 · 순화 · 반석 · 가장 · 연곡 · 성삼 · 성칠 · 금정 · 마산 · 덕화 · 덕촌 · 서제 · 학수 · 고산 · 와우 · 상서 · 판교 · 중석화 · 도금 등 22개 이로 되어 있다.

평안남도의 서부 평야지대에 속하는 군으로 대부분의 지역이 해발 200m 이하의 낮은 산과 준평원지대를 이룬다. 서부지역에는 오석산맥이 거의 남북방향으로 뻗어 있고, 변두리에는 만덕산(248m) · 대보산(371m) · 월명산(184m) 등 낮은 산들이 솟아 있다.

군내에는 순화강과 그 지류인 원장천 · 반석천 · 팔청천, 보통강의 지류인 사창천 · 갈산천 등 10여 개의 강과 하천이 흐르며, 독좌 · 좌영 · 금제 · 형산저수지 등이 조성되어 있다.

기반암은 모래암 · 편마암 · 편마상화강암으로 되어 있으며, 토양은 갈색산림토가 대부분이고, 논토양 · 충적토가 분포되어 있다.

연평균기온 9℃, 1월 평균기온 -8.5℃, 8월 평균기온 24.1℃이며, 첫서리는 10월 15일, 마감서리는 4월 25일경에 내린다. 연평균강우량은 983㎜이다. 산림은 군면적의 22%로 소나무 · 쪽가래나무 · 분지나무 · 참나무 등이 자라며, 이깔나무 · 잣나무 등이 조림되어 있다.

군은 순화강과 보통강의 질규들을 정리하고, 금제 · 덕촌저수지 등 많은 관개시설을 건설해 농업이 발전하였다. 농경지는 군면적의 68%에 달하며, 곡물 생산에서 쌀이 74%를 차지한다.

교외농업이 발달해 배추 · 무 · 가지 · 오이 등의 채소가 많이 재배되며, 사과 · 배 · 복숭아 · 살구 등 여러 종류의 과일이 생산된다. 자연목장에서는 소 · 양 · 토끼 · 돼지 · 닭 등의 가축이 사육되고, 야산에는 대단위 뽕밭이 조성되어 누에고치 생산이 증가하고 있으며, 마산 · 덕화 · 와우리 일대에서는 벌꿀이 생산된다.

공업은 내화벽돌공장과 전동기 및 변압기를 생산하는 전기기계공장이 있으며, 그 밖에 건재류 · 기름 · 청량음료 · 식료품 · 가구류 · 수지 및 철제 일용품 · 보석가공품 · 초물 등을 생산하는 지방공장들이 있다.

교통망은 평양 · 증산 · 강서 · 평원 · 순안으로 통하는 도로가 있으며, 순화강을 통해 원장천 합류지점에서 평양까지 선박이 운항된다. 유적으로는 덕화리에 덕화리 제2호 고분이 있는데, 이 곳에는 고구려인들의 천문에 대한 지식을 엿볼 수 있는 성좌가 많이 그려져 있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1985)
「평안남도지」(평안남도지편찬위원회, 『자연보존연구보고서』6, 1984)
『북한행정구역 및 산천지세』(국토통일원, 1980)
『북한문화재실태와 현황』(문화재관리국)
『이북5도30년사』(이북5도위원회)
『인물의 고향』-북한편-(중앙일보사, 1991)
『북한지지요람』(통일원, 1984)
집필자
노도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