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질서 ()

유교
문헌
조선후기 실학자 이익이 『대학』을 정리하여 편찬한 주석서. 유학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실학자 이익이 『대학』을 정리하여 편찬한 주석서. 유학서.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이 책은 칠서(七書)를 해설한 『성호질서(星湖疾書)』의 일부이다. ‘질서(疾書)’라는 말은 원래 송나라의 유학자 장재(張載)가 공부하는 중에 마음에 떠오르는 것이 있으면 빨리 기록하였다는 뜻으로 사용한 데서 따온 것이다. 이 책은 1922년에 간행된 『성호전집(星湖全集)』에 빠져 있으며, 별도의 간행여부는 미상이다.

권두에 자서(自序)인 「서문편제(序文篇題)」가 있고, 이어 경문(經文)·전문(傳文)·발문 등의 순으로 편차되어 있다. 저자는 서문에서 주희(朱熹)의 집주(集註)와 『대학혹문(大學或問)』·『대학어류(大學語類)』 등의 주석서가 『대학』의 심오한 뜻을 파악하는 데 미흡함을 말해 따로 자득(自得)한 경지가 있음을 비추고 있다.

경문에서는 명명덕(明明德)·신민(新民)·지어지선(止於至善)의 삼강령(三綱領)과 격물(格物)·치지(致知)·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의 팔조목(八條目)을 총론적으로 다루어 『대학』의 이상(理想)인 수기(修己)·치인(治人)의 대법(大法)을 말하고, 아울러 이러한 이상에 도달하는 순서를 밝히고 있다.

그는 『대학』에서 말하는 덕(德)을 『중용』의 명(命)과 같은 뜻으로 해석하며, 가장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려 하고 있다. 전문은 삼강령·팔조목을 다시 구분해 명명덕에서 치국평천하까지 10장에 걸쳐 각론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명명덕에 대한 설명에서는 덕이 명의 원인이 되고 명은 덕의 원인이 된다고 하여 서로 상통하는 이치로서 파악하였다. 격물치지는 격치(格致)를 행위에 겸합(兼合)된 개념으로 해석해 지행합일(知行合一)을 강조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익의 경학(經學)에 관한 지식과 사상이 집약된 것으로서, 그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李星湖의 「大學疾書」에 관한 考察」(안재순, 『동양철학연구』, 1981)
「성호 이익의 대학질서」(서근식, 『정신문화연구』 38, 2015)
「星湖 李瀷의 『大學疾書』에 關한 硏究」(윤서현, 성균관대학 석사학위논문, 2016)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