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배기춤

무용
작품
경상도 지방의 야류나 오광대놀이 등에서 추는 대표적인 춤사위.
이칭
이칭
덧배기, 덧뵈기춤, 배김새춤
목차
정의
경상도 지방의 야류나 오광대놀이 등에서 추는 대표적인 춤사위.
개설

두가지 뜻을 지니는데, 하나는 경상도 지방의 민속춤을 일명 덧배기라고 한다. 또 하나는 경상도 민속춤의 대표적인 춤사위를 가리키는 말로 덧배기, 덧뵈기춤, 배김새춤이라고도 한다. ‘덧’의 어의 해석은 ‘거듭’, ‘겹’, ‘곱’을 뜻하고, 또는 정상적인 것으로부터 탈선이나 악화를 의미하는 ‘탈’로 풀이된다. ‘배기’의 뜻은 ‘박이다’가 박이기→백이기→백이→배기로 음운이 변하였고, ‘덧’과 함께 덧배기춤이 되어 ‘겹쳐 백이는 춤’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덧배기춤은 인간에게서 해악을 끼치는 탈난 잡것을 베어 없애버린다는 뜻을 원천적으로 품고 있으며 배김사위가 이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데, 지신(地神)을 진압하듯 크게 뛰어 땅을 내리밟는 춤동작에서 긴장감이 감도는 공격적인 박력을 볼 수 있다.

구성 및 형식

덧배기의 동작은 굿거리와 덧배기(잦은몰이)장단에서 행하는데, 동작의 구성은 달아서 맺는 대목, 배기고 어르는 대목, 푸는 대목으로 나눌 수 있다. 달아서 맺는 대목은 배기기를 하기 전에 주로 좌우활개사위나 활갯짓 뜀사위를 한다. 배기고 어르는 대목은 원박만 치는 ‘응박캥캥’ 가락에 맞춰 첫 박에 땅에 박듯이 앞다리 혹은 양다리로 무릎을 굽혀 제자리에서 정지하는 동작이다.

절도있게 고개짓을 하거나 어깨짓을 한 후 푸는 대목으로 넘어간다. 춤사위를 새롭게 시작하거나 어깨춤으로 동작을 풀어나간다. 활달하면서도 동작이 큰 허튼춤이며, 남성춤에 많이 있다. 반주는 주로 사물(꽹가리, 징, 장고, 북)로 하며, 경상도의 탈놀이인 야류(野遊)나 오광대(五廣大)놀이와 밀양백중놀이, 동래한량춤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민속(民俗)춤』(정병호, 삼성출판사, 1991)
「동래(東萊) 덧배기춤에 관한 연구」(이현주, 『춤,탈,마당,몸,미학공부집』, 민속원, 200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